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白頭山定界碑의 役割과 再評價에 關한 硏究(上)

이용수 182

영문명
A Study on Mt. Baikdu Demarcation Stone's Role and Revaluation(上) : With a focus on the problems in the process of the erection
발행기관
한국지적학회
저자명
이범관(Lee, Beom Gwan) 홍영희(Hong, Young Hee) 조병현(Cho, Byung Hyun) 김종남(Kim, Jong Nam) 김홍택(Kim, Hong Teak) 김봉준(Kim, Bong Joon) 김상민(Kim, Sang Min)
간행물 정보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25권 제2호, 209~22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2.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백두산정계비 건립 과정과 건립 이후 처의 재조사와 사실왜곡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백두산정계비의 역할과 후일 한·중간 간도영유권 확정을 위한 새로운 논의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그 역할을 종합적으로 재평가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을 백두산정계비로 한정하였고, 연구범위로서 시대적 한계는 백두산정계비 건립에서 간도협약까지로, 지리적 범위는 백두산정계비와 토문강 이남의 간도를 포함한 영역으로, 내용적 범위는 백두산정계비의 역할과 재평가를 해 보는 것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서 접근방법은 역사적 접근방법을,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법을, 분석방법은 기술적(記述的)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오늘날의 간도영유권 문제는 적어도 분쟁상태에 있다는 것이 그 법적 측면의 판단이다. 또한, 백두산정계비는 조·청간 비문 해석상에 이견이 있었지만, 국제법상 유효한 국경조약으로 조·청 양국을 구속하고, 압록·토문강의 분수령상에 정계비를 건립함으로서 양국간의 국경획정과 국경선으로서의 표지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investigation and truth perversion of Chung during and after the erection of Mt. Baikdu Demarcation stone. Based on the finding, this study will revaluate the overall role of the stone by discussing settlement of Gando sovereignty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future.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Mt. Baikdu Demarcation Stone. The scope of the study was from the erection to Gando convention, whereas, the geological scope was from Mt. Baikdu Demarcation Stone to Gando located in the southern area of the Tomun river. The scope of the content was limited to understanding and revaluating the roles of Mt. Baikdu Demarcation Stone. As for the research method, historical approach, literature research and descriptive analysi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egal aspect of Gando sovereignty issue concludes that it is still in dispute. Joseon and Chung had different opinions on the interpretation of inscription on Mt. Baikdu Demarcation Stone. However, the two countries were bound by a valid border treaty of international law. And by erecting the demarcation stone on the watershed of the Ap-lok and Tomun rivers, the stone is serving as both a demarcation and a border line mark between the two countri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범관(Lee, Beom Gwan),홍영희(Hong, Young Hee),조병현(Cho, Byung Hyun),김종남(Kim, Jong Nam),김홍택(Kim, Hong Teak),김봉준(Kim, Bong Joon),김상민(Kim, Sang Min). (2009).白頭山定界碑의 役割과 再評價에 關한 硏究(上). 한국지적학회지, 25 (2), 209-226

MLA

이범관(Lee, Beom Gwan),홍영희(Hong, Young Hee),조병현(Cho, Byung Hyun),김종남(Kim, Jong Nam),김홍택(Kim, Hong Teak),김봉준(Kim, Bong Joon),김상민(Kim, Sang Min). "白頭山定界碑의 役割과 再評價에 關한 硏究(上)." 한국지적학회지, 25.2(2009): 209-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