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 기본권의 기초로서의 접근권에 관한 고찰

이용수 1271

영문명
A study on the Access of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저자명
김명수(Kim, Muyung Soo)
간행물 정보
『세계헌법연구』世界憲法硏究 第15卷 第1號,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2.28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장애인이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자유로운 일상생활을 누리려면 무엇보다도 장애인의 이동과 정보를 제약하는 각종 요인들이 제거될 필요가 있다. 장애인을 위한 경사로·안내판·전용주차장 등 각종 편의시설이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 출판 매체나 영상매체 등에 있어서도 일상생활에 필요한 정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럴 때에 비로소 장애인의 진전한 사회구성원으로서 헌법상 보장되는 각종의 기본권을 실질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며, 장애인의 완전참여와 평등이라는 이념도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현행법 상 접근권은 이동권, 시설이용권, 정보접근권이라는 세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하지만 여러 법률에서 이에 대한 모호한 용어사용으로 인하여 접근권의 규범력이 약해질 우려가 있으며,「장애인차별금지법」과의 중복 사용으로 인하여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따라서 장애인 관련 법제의 재구성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장애인 기본권은 미실현 권리의 실현이라는 특수성을 갖고 있다. 즉, 장애인 기본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비장애인과는 다른 매개체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역할을 하는 권리가 바로 접근권이라는 것이다. 시각 장애인이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인 컴퓨터만 있어서는 완전한 권리 실현이 어렵다. 반드시 시각장애인을 위한 특수한 장치(예를 들어 음성 서비스나 점자 키보드 등)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교육을 받기 위해서는 휠체어 장애인에게는 계단보다는 경사길이, 가급적 낮은 층에서 수업을 받을 수 있어야 하며, 시험도 장애 유형에 맞는 보조수단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접근권은 장애인 기본권의 기초가 되는 권리라고 주장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접근권의 개념은 넓은 의미에서는 모든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총체적 접근이라는 의미이고, 좁은 의미에서는 최소한의 노력과 노동을 들여서 움직임이 불편한 사람들이 건물이나 교통수단을 좀 더 쉽게 이용하도록 시설물을 개선하여 향상시키는 권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right of access will be able to define with three kind is a right of Mobility, a right of facility use and a right of access to information. Constitutional principle for guarantying the basic rights for the disabled is social integration by facilitating social participation. The traditional explanation of equal right was that "the same should be treated as same, the different should be treated as different." However, for the basic rights of the handicapped it must be interpreted as "the equality of results". Allowing reasonable discrimination for disability, the state seeks to provide practical guarantee that endorses appropriate measures of realizing equality. Compulsory employment of the handicapped and an massagist license exclusive to the blind could be good examples. There are of course critics due to the possibility of reverse discrimination. However, such measures will be legally justified when they relieve the imbalance between the handicapped and non-handicapped, established as temporary measures, and if the restriction against the non-handicapped is acceptable. Relatedly, laws have been enacted for "the social integration by promoting social participation of the hadicapped. In addition, the law that prohibits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their rights remedies" is enacted and is already in force for protecting the basic right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Prohibiting discrimination against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ll areas of life and at the same time remedying their right, this law aims to improv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handicapped and to put into practice the human dignity and worth through realizing equal rights. According to this law the rights such as "the right to be educated", "the right to vote", "the right to work" and "the right to enjoy legal services" will be also realized. In fact, laws concerning the basic right of the disabled do exist, but these laws have so far not been so effective because of the lack of the rules of punishment as well as the vagueness in defining disability discrimination. Furthermore,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34 (5) of the constitution, rather than extending to include all kinds of handicapped personnel, the clause applies just to those without daily living ability. The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is made on the reason of this lack and so it should be regarded as the framework for other laws which have similar purposes. This study discusses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basic rights of disability. Disability rights can not be guaranteed in the same way as non-disability. The right of access to information, for example, does not mean the same for the non-handicapped and for the handicapped(especially the blind) both sitting in front of the computer. In case of the blind person, the computer must have a voice assistant system for enabling him or her to access information. This means that the ideas of basic rights cannot be realized for the handicapped as long as such difference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in policy implementation. Therefore, practical legislation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y is needed to guarantee their basic rights.

목차

Ⅰ. 서론
Ⅱ. 장애인 접근권의 비교법적 고찰
Ⅲ. 접근권의 개념과 장애인 기본권의 특수성
Ⅳ. 장애인 접근권 범위의 확장
Ⅴ. 결론
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수(Kim, Muyung Soo). (2009).장애인 기본권의 기초로서의 접근권에 관한 고찰. 세계헌법연구, 15 (1), 1-24

MLA

김명수(Kim, Muyung Soo). "장애인 기본권의 기초로서의 접근권에 관한 고찰." 세계헌법연구, 15.1(2009):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