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원 두루봉동굴 유적의 고고학적 접근

이용수 473

영문명
Archeological Approach of Durubong Cave Site, Cheongwon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이융조(LEE Yung-jo) 우종윤(WOO Jong-yoon)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25輯, 99~11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0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두루봉동굴 유적이 조사된 것은 1976~1983년으로 40년 전부터 이루어졌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출토된 사람뼈ㆍ동물화석ㆍ식물상자료ㆍ석기ㆍ뼈연모 등 유물을 중심으로 당시의 자연환경ㆍ동물상ㆍ사람뼈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ㆍ동물화석에 나타난 인류행위 분석ㆍ사회복원의 시도 등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함께 두루봉 구석기문화와 생활상을 이해하는데 집자리와 화덕자리가 중요한 고고학 정보를 제공하여 줄 것으로 판단하여, 두루봉동굴 유적에서 조사된 여러 고고학 자료 가운데 인류의 문화행위 흔적으로서의 구조물인 집자리와 화덕자리를 중심으로 입지ㆍ구조ㆍ기능 및 둘레에서 출토된 유물 등을 분석하여 두루봉 구석기문화의 한 면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야외 막집인 15굴 집자리는 다른 굴에서 출토된 동물화석의 분석결과로 볼 때 사냥철에 임시주거(seasonal camp, hunting Camp)의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보았다. 집자리 안에 설치한 2기의 화덕자리는 공간배치와 구조상의 차이 등으로 보아 취사 중심과 난방 중심의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2굴과 흥수굴의 화덕자리는 위치ㆍ구조ㆍ특징ㆍ크기 등에서 서로 많은 유사성이 확인되며, 화덕자리를 중심으로 취사ㆍ난방ㆍ연모제작 등의 활동이 이루어졌던 것으로 이해하였다. 흥수굴 화덕자리에서 출토된 숯을 AMS연대측정하여 12,100±130B.P(SNU06-850)의 연대값을 얻었는데, 이 연대값은 출토된 석기의 특징ㆍ형태ㆍ제작수법ㆍ암질구성 등과 견주어 볼 때 젊은 연대값으로 판단되었다. 집자리의 구조ㆍ기능 및 거주양태, 다른 굴과의 비교연구, 화덕자리의 구조ㆍ공간배치 및 둘레 출토유물의 비교분석 등을 통한 인류행위의 복원 해석은 두루봉 구석기문화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Durubong site is a complex site which is composed of many caves such as Cave No.2, Cave No. 9, New Cave, Virgin Cave and Hungsu-gul. As a result of 10 times excavations, abundant archeological remains have been unearthed including human remains, stone tools, bone tools, animal bones, plant remains; they provide crucial informations about the Paleolithic people"s life, their culture and natural environment.
  In this article, we tried an archeological approach throughout settlement structure and hearths that have been found in Cave No.15 and Hungsu-gul.
  The settlement of the Cave No.15 equiped with wall and entrance; it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t is an area of 9.6square meters. This settlement would be temporally utilized during the hunting season.
  The hearth of Cave No. 2 has an oval type and it is surrounded with stones; its dimension is 65×90㎝. And the hearth of Hungsu-gul is a pit type and it has an oval form; its dimension is 100×75㎝. This hearth would be mainly utilized for cooking and living.
  Features such as settlement structure and hearth provide key archeologica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of prehistoric men"s subsistence. We look forward to get more detailed archeological approach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n various remains from many cave site of Durubong Complex with settlement structure and hearth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문화행위 흔적으로서의 구조물
Ⅲ. 구조물의 구조와 기능
Ⅳ.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융조(LEE Yung-jo),우종윤(WOO Jong-yoon). (2006).청원 두루봉동굴 유적의 고고학적 접근. 선사와 고대, 25 , 99-116

MLA

이융조(LEE Yung-jo),우종윤(WOO Jong-yoon). "청원 두루봉동굴 유적의 고고학적 접근." 선사와 고대, 25.(2006): 99-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