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無文土器 甕棺墓 檢討

이용수 402

영문명
A Study of the Mumun Pottery Jar-Coffin Tombs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김규정(Kim Gyu-Jou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25輯, 457~48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0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옹관묘는 선사시대에서 근래까지 사용되고 있는 가장 오랜 전통을 가진 묘제의 한 형식으로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었다. 한반도에서는 신석기시대에 처음 등장하여 청동기시대에 본격적으로 축조되기 시작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 무문토기옹관묘는 송국리문화의 등장과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최근 발굴자료가 증가하면서 그동안 송국리형묘제로 인식되었던 익산 석천리 옹관묘를 비롯한 청주 봉명동, 비하동, 서천 옥남리, 익산 율촌리 정읍 상평동 옹관묘의 경우 옹관으로 사용된 토기가 심발형토기와 직립구연 호형토기로 외반구연 송국리식토기와 구별된다. 특히 직립구연 호형토기는 대부분 청동기시대 전기의 장방형주거지에서 출토되고 있어 청동기시대 전기의 특징적인 토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무문토기옹관묘는 청동기시대 전기부터 지석묘, 석관묘와 함께 주묘제로 이용된 것으로 보인다.
  무문토기옹관묘는 축조방법에 따라 직치식, 사치식 횡치식으로 구분된다. 직치식은 청동기 시대 전기부터 이용되기 시작하여 중기까지 이용되고 있다. 사치식은 청동기시대 중기에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금강중하류에 집중되고 있다. 횡치식은 서천 옥남리에서 조사된 1기를 제외하면 청동기시대 후기의 점토대토기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특히 점토대토기단계의 옹관은 대부분 횡치합구식이다. 또한 지역적으로는 영산강유역에 집중되고 옹관묘만 집단묘역을 형성하고 있어 영산강유역의 대형옹관묘로 발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Jar coffin tomb is one of the oldest burial methods that have been used all over the world ever since the pre-historic age until this day. It first appeared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New Stone Age and started to be built in full scale in the Bronze Age. Different from other tombs, jar coffins in the former Bronze Age are found independently but, from the mid Bronze Age on, when Songgukri-type culture began, tombs were formed in group, separate from dwelling places. In this age, stone cist tombs and pit tombs with stone covers were also built together with jar coffins.
  As for Mumun period jar coffins, it has been assumed so far that they were employed in full scale just at the onset of Songgukri-type culture stage. Such jar coffins as surveyed lately in Seokcheonri in Iksan, Bongmyeongdong and Bihadong in Chengju, Oknamri in Seocheon and Sangpyeongdong in Jeongeup that have been believed to belong to the Songgukri-type tomb system are found to have been made of the same earthenware as were used chracteristically for cymbal-type and jar-type coffins in the Bronze Age. This explains clearly that jar coffins were already used as main burial means even in the pre-Bronze Age, along with dolmens and stone cist tombs.
  Mumun period jar coffins can be classified into vertical type, tilting type and horizontal type in terms of tomb building method. Researches showed that the vertical and horizontal types of tomb were used starting from the pre-Bronze Age and were developed into various types from the mid Bronze Age. At the start of the latter mouth ring pottery culture, however, variety in forms of the mid Bronze Age-type tomb disappeared and tilting type coffins faded in, instead. Besides, singular jar coffins were replaced by collective jar coffins.
  Geographically, no jar coffins have been unearthed in the Yeongsan River basin that may be classified to belong to the former and mid Stone Age but most of coffins that have been examined seem to have developed into large size jar coffin tombs that may be classified to be mouth ring pottery culture. Furthermore, it became evident that jar coffins started to form collective tomb system just from the mouth ring pottery culture onward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遺蹟 現況
Ⅲ. 무문토기 옹관묘의 축조방법
Ⅳ. 무문토기 옹관묘의 변화양상
Ⅴ.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규정(Kim Gyu-Joung). (2006).無文土器 甕棺墓 檢討. 선사와 고대, 25 , 457-480

MLA

김규정(Kim Gyu-Joung). "無文土器 甕棺墓 檢討." 선사와 고대, 25.(2006): 457-4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