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두루봉 연구 30년

이용수 520

영문명
30 Years since the First Excavation of Durubong Cave Site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이융조(LEE Yung-Jo)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25輯, 35~78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0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두루봉유적은 1976년 7월, 강승원 기자(당시 한국일보)의 제보로 알려지게 되었고, 그 뒤 충북대학교 박물관과 연세대학교 박물관이 l차 조사(1976. 8. 7~13)로 2굴을 발굴하였고, 그 뒤 연세대학교에서는 9굴을 조사하고 충북대학교에서는 계속하여 2굴과 15굴ㆍ새굴ㆍ처녀굴ㆍ흥수굴 등을 찾아 모두 10차례(1976~1983)까지 조사하였다.
  이렇게 찾아진 동굴은 2~3차례의 계획적인 기획발굴이 진행되었지만, 그 외에는 모두 현지 작업인들의 제보에 따라 조사되었다. 두루봉 동굴유적은 발굴되기 전 1964년부터 광산허가로 이미 발파되어 두루몽실하게 생긴 두루봉의 봉우리가 거의 ⅔ 이상이 파괴된 상태에서 발굴ㆍ조사되었기 때문에 두루봉에 있었던 동굴의 전체 규모는 알 수 없는 상태였다.
  그렇다고 하지만 구제발굴로 실시된 이들 동굴에서는 여러 가지 고고학적 자료들이 발굴되었다. 2굴에서는 46종(species)의 동물화석이 밝혀지고 불땐자리(65×90㎝)와 함께 많은 뼈연모ㆍ짐승화석 등이 찾아졌으며, 굴 입구 모서리에서는 진달래(ericacea) 꽃가루가 모두 157개나 검출되어 이들 자료들로 보아 일부러 갖다놓은 것으로 해석되어 “꽃을 사랑한 첫 번째 사람들(The First Flower People)”이라고 할 수 있다.
  15굴에서는 많은 숯이 출토된 불땐자리(30×30㎝)와 함께 커다란 석회석 바위덩어리를 지탱하여, 길이 약 40㎝정도의 넓적한 석회암 돌들을 길이로 놓아 담으로 할 수 있게 하여, Terra Amata 집터와 같이 휘인 나무집으로 만들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새굴에서는 굴 안의 1㎡ (1×1m)의 면적에서 뿔이 잘린 사슴 머리뼈 13개가 같이 몰려 있어서, 사슴숭배의식(deer cult)이 있었던 것으로 해석되고 또한 옛코끼리(Elephas antiquitas) 상아(길이 61.8㎝)가 발굴되었는데, 인류행위로 만들어진 찍힌 자국과 자른자국이 관찰되었다.
  처녀굴에서는 거의 완전한 큰쌍코뿔이(Dicerorhinus merckii)의 뼈대와 완전한 한 개체의 동굴곰(Ursus spelaeus)이 발굴되었다. 특히 동굴곰 머리뼈와 아래턱이 놓여진 가운데에는 5년생의 큰꽃사슴(Pseudaxis grayi) 뿔이 놓여 있고, 동굴곰의 긴 뼈들(long bones)이 동쪽방향으로 나란하게 놓여져 일부러 인간이 배열한 행위로 해석되었다. 그 목적은 사슴과 곰의 숭배의식(deer and bear cult)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0차(1982. 12. 15~1983. 1. 29)에 발굴된 흥수굴은 제보해 준 김흥수(Mr. Kim Hung-su)님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동굴로 여기에서는 많은 석기들과 불땐자리(100×75㎝)들이 발굴되었다. 특히 이 굴에서는 두 개체의 어린아이 뼈들이 발굴되어 l호ㆍ2호라고 이름 붙여졌으나, 2호는 약 3살 정도의 어린 아이로 이미 머리 부분이 없어진 채로 발굴되었다.
  1호아이는 거의 완전한 채로 발굴되었는데, 밑바닥에 넓적한 판자돌을 묻고 그 위에 두께 약 10㎝정도의 고은흙을 뿌리고, 다시 그 위에 이 흥수아이를 바로펴묻기로 묻은 위에 두께 10㎝ 정도의 고은흙과 판자돌을 다시 덮는 매장을 하였다.
  이 흥수아이는 이빨로 보아 5살 정도가 되며, 키는 110~120cm 정도, 뇌용적량(cranial capacity)이 1,260cc가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머리뼈 상태는 좁고 길며(Dolichocrany), 높은 머리(Hypsicrany)가  특징인 것으로 계측되었다. 이 1호아이의 엉치뼈 부분에서는 국화꽃가루가 덩어리 진 채로 발견되어, 이 어린이의 내세를 위한 의식행위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두루봉 동굴에서 발굴된 많은 멸종된 짐승뼈화석과 석기ㆍ사람뼈들의 모든 자료들은 한국은 물론 아시아 구석기연구에 크게 기여하게 되었으나 유적이 보존되지 못한 것은 무척 애석한 일이다.
  발굴이 진행되고, 발굴이 끝난 뒤에도 필자를 포함한 여러 학자들은 75편의 논문과 보고서 5편, 연구저서 l펀을 한국어ㆍ일본어ㆍ중국어ㆍ영어ㆍ불어 등으로 국내 학회와 국제학술회의에 발표하였다. 그렇다고는 하더라도 고동물학ㆍ지질학적 연구의 부족과 절대연대측정자료의 축적이 필요하다. 더욱이 이러한 많은 자료들을 지방의 국립대학 박물관 예산만으로는 진행되기 어려운 상태이므로 국가기관에서 좀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충북대학교 박물관에서는 두루봉 발굴 20주년(1996, 10. 21~30)과 30주년(2006. 11. 8~14)을 기념하는 국제학술회의를 개최하여 그 연구성과를 널리 알라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Since it had been reported by Mr. Seung-won Kang, a journalist of the Hankook Ilbo, in July 1976, Durubong Cave Complex has been through 10 excavations so far. The first excavation from Aug.7 to 13 in 1976 was carried out to the Cave No.2 b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and Yonsei University Museum. After that, the researchhave continued that Yonsei University Museum investigated the Cave No.9 and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has found and excavated the Cave No.15ㆍSae-gul(the New Cave)?Cheonyeo-gul(the Virgin Cave)ㆍHungsu-gul(the Hung-su Cave).
  The sites investigated in the complex include caves reported by local miners, as well as ones found by researchers. Unfortunately, since the cave complex had been exploited for limestone mining from 1964, more than ⅔ of original feature had already been destroyed by blasting.
  In spite of the salvation excavation, the caves revealed a lot of important archaeological materials. From the Cave No.2, there was found 46 species of faunal remains and a hearth (65×90㎝) with many bone tools. Moreover, it is interpreted that azalea pollens (ericacea) of 157 pieces found at the entrance of the cave was laid down deliberately, which shows us the appearance of “The First Flower People” in the history.
  The Cave No.15 is thought to have a wooden house like the dwelling of the Terra Amata, from the evidence of several limestone slabs.
  Inside of Sae-gul, there were found 13 skulls of deer within 1㎡ that shows a kind of deer cult and an ivory(61.8㎝ long) of Elephas antiquitasretaining artificial cut-mark on it.
  Cheonyeo-gul has taken a lot of attention that it revealed an almost full set of skeleton of Dicerorhinus merckii and a completely full one of Ursus spelaeus. Besides, there were put a horn of 5 year old Pseudaxis grayiand long bones of the cave bear between the skull and mandible, whose disposition is thought intentional. The purpose seems related to deer and bear cult.
  The Hung-su Cave excavated during the 10<SUP>th</SUP> excavation was named after the reporter, Mr. Hung-su Kim, where many stone artifacts and a hearth(100×75㎝) were found. It is very important that human fossil bones of 2 children were excavated, named Hung-su Child No.1 and No.2. The latter one was a child around 3 years old, found the skull missing.
  The Hung-su Child No.1 had preserved almost intact in a certain burial that a slab stone was put at the bottom of the burial and fine dirt was sprinkled with 10㎝ thickness on it. After the child was laid on the dirt, another fine dirt and slab stone was put on the skeleton.
  This child is thought 5 years old from the teeth, 110~120㎝ tall, having cranial capacity of 1,260cc with dolichocrany and hypsicrany. Around the sacrum, chrysanthemumpollen was found that there seems to have been a ritual activity for the future life after death of the child.
  Though the remains from the sites and the research have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studying Asian Paleolithic, it is really deplorable that the cave complex could not be preserved. In spite of this hard condition, my colleagues and I have presented 75 articles, 5 excavation reports, and 1 research book in Korean, Japanese, Chinese, English, and French 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symposiums.
  For further research, we need more paleontological and geological data as well as absolute dating material. It is very hard to keep the research progressing by a university museum that this should be supported by government organizations.
  As part of the provok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Museum has held international academic conferences in the 20<SUP>th</SUP> (1996.10.21~30) and 30<SUP>th</SUP> (2006.11.8~14) anniversarie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두루봉 동굴유적의 개관
Ⅲ. 두루봉 연구 30년의 목록
Ⅳ. 두루봉동굴의 문화 해석
Ⅴ. 두루봉동굴 유적연구의 한계와 과제
Ⅵ.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융조(LEE Yung-Jo). (2006).두루봉 연구 30년. 선사와 고대, 25 , 35-78

MLA

이융조(LEE Yung-Jo). "두루봉 연구 30년." 선사와 고대, 25.(2006): 35-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