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江華地域 酋長社會의 形成과 構造의 變化

이용수 108

영문명
The Substance of the Chiefdom in the Northern Ganghwa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홍인국(Hong In-Guk)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25輯, 409~43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0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석묘는 농경사회의 대표적인 상징물로 生業經濟, 村落의 입지선정과 매우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지석묘의 분포는 村落의 입지선정 조건을 간접적으로 제공해 주기 때문에 지석묘 분포지역의 지형조건 분석을 통해 村落의 형성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이를 근거로 강화 북부지역의 고려산을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는 지석묘를 통해 酋長社會의 형성과정을 입지적 특징과 사회구조로 나눠 살펴보았다.
  강화지역에서의 주거는 기원전 10세기를 전후로 三巨里에서 직경 1~2㎞ 정도의 소규모 村落을 중심으로 시작된 것으로 짐작된다. 이처럼 강화지역 최초의 거주지인 三巨里는 고려산 주변의 낮은 구릉성 평지와 서해와 한강에 인접한 지리적 특성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 이른 시기부터 村落을 형성하였고, 주변으로는 親族關係에 있는 마을들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형성되었다고 짐작된다. 즉 풍부한 생산적 기반과 토지, 그리고 지정학적 교통요지에 위치한 三巨里 酋長社會는 정치적 중심제로서 성장하게 되었다고 본다.
  이러한 血緣的 共同生活空間을 영역으로 기원전 8, 9세기에 이르러 점차 직경 5㎞ 정도의 初期 酋長社會를 형성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이르러 다수의 지석묘가 축조되었고, 지석묘 주변에서 발견된 각종 토기와 농경관련 유물 등을 통해 안정된 주거 생활을 하는 한편, 한반도 서북지방에서부터 남부지방에 이르는 원거리교역도 이루어졌다. 그 결과 酋長의 정치권력도 성장하게 되었으며, 三巨里는 그들의 대표인 酋長이 거주하는 中心村落으로 성장하게 되었다고 여겨진다.
  기원전 8, 9세기 이후가 되면서 점차 사회구조의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초기 三巨里 중심의 酋長社會는 점차 인구증가에 따라 주변 富近里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이것은 인구증가에 따른 농경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中心村落의 영역이 확대되어 주거환경과 정치적 영향력이 월등한 富近里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富近里 중심의 酋長社會는 이전보다 발달된 단계로서 주변의 친족 또는 정치적 종속관계에 있는 村落들을 편제하여 직경 10㎞에 이르는 대규모 酋長社會로 성장하게 되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사회발전과정은 당시 강화 북부지역의 섬으로 독립되어 있었던 橋山里에서도 비슷한 규모의 酋長社會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처럼 강화지역 지석묘의 입지와 분포에 따른 사회구조를 최초 형성된 마을의 성격과 이후 발전과정을 통해 三巨里 중심의 제1단계와 富近里 중심의 제2단계의 社會構造로 나눠 발전해 나갔을 것으로 추론해 보았다.

영문 초록

  Ganghwa area has been recognized for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dolmens per area from the early times. Therefore, an affective research of dolmens on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possible through looking into the process of formation of groups that had built dolmens, and the changes of ruling systems brought by this in Ganghwa area.
  Based on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will discuss will discuss the structural feature of chiefdom through examining dolmens distributed in Ganghwa area. The northern area of Ganghwa is the place in which various kinds of dolmens are found around Koryo mountain. Among other social groups, it started to be an early habitant, supposedly on Samgeo-ri, and developed into the central ruling area of the chief with strong political power.
  First of all, the process of formation of chiefdom through the research on locational distinction of Ganghwa will be dealt. The northern area of Ganghwa has abundant food resources that led the human inhabitation from the early times. This must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mooth supply of food resources, and formation of base for trde and exchange, thereby forming the first chiefdom. This kind of first stage of formation of village gradually laid the foundation for social development through production and trade by making use of geological factors such as river and seacoast. With this trend, the construction of dolmens is assumed to have increased.
  Second, chiefdom in the northern area of Ganghwa is through to have started around 10 B.C. and to have been developed to 8 or 9 B.C. and even further. The distinction is made here according to the change of styles in construction of dolmens and the chronological difference of archaeological specimens found around the dolmens. In particular, the excavation of top-shaped pottery will be dealt as an example.
  The discovery of top-shaped pottery are one of the important evidence that confirmed the development of chiefdom in Ganghwa area, and this allegedly exerted an enormous influence on the society. That is, beside the geological importance of Ganghwa proves its exchange and trade with the northwest region on the Korean peninsula, it indicates to have affected the process of social development thereafter. For this reason, Ganghwa area seems to have grown under the influence of the advanced culture from the northwest region on the Korean peninsula.
  Last, the assumption here is that chiefdom in northern area of Ganghwa grew through the first and the second stage of development, after it was established with Samgeo-ri as a center.
  These changes, mostly of society and politics, would mean growth of the chiefdom of regional unit that can control the extended area, from its size as a village unit centered on Samgeo-ri. Therefore, in the northern area, chiefdom would have gradually formed and developed a new social structure that possessed network with the characteristic of alliance.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江華地域의 立地條件과 支石墓의 分布
Ⅲ. 江華地域 酋長勢力의 形成
Ⅳ. 江華地域 酋長社會의 成長과 發展
Ⅴ.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인국(Hong In-Guk). (2006).江華地域 酋長社會의 形成과 構造의 變化. 선사와 고대, 25 , 409-430

MLA

홍인국(Hong In-Guk). "江華地域 酋長社會의 形成과 構造의 變化." 선사와 고대, 25.(2006): 409-4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