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임진강 유역의 고인돌 분포 연구

이용수 159

영문명
A Study on Dolmens Distributed in the Basin of the Imjin River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최민정(Choi Min-Jeo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25輯, 385~40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2.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임진강의 본류와 지류에는 현재까지 조사에 의하면 43개 지역에 401기 정도의 고인돌이 있다. 그런데 이들 고인돌은 임진강의 지류보다는 본류에 대부분 분포하며, 임진강의 하류와 지류로 갈수록 고인돌의 수가 감소한다.
  임진강과 그 지류에는 한 곳에 1기의 고인돌만 있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고인돌이 2기 이상 분포하는 곳이 40군데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이처럼 한 지역에 여러 기의 고인돌이 떼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은 고인돌이 무덤이라고 할 때 어떤 특정 집단만이 축조하였다고 이해하기 보다는 당시 사회에 보편적으로 널리 유행한 공동 묘지의 성격이 강하다.
  임진강과 그 지류에 분포하는 고인돌 중에서 입지상태를 알 수 있는 것은 290기 정도 이다. 이들 고인돌은 입지 지형으로 평지를 선호하였는데 이것은 고인돌 축조집단의 생활공간이 대부분 평지에 한정되었고, 그들의 생활공간과 가까운 곳에 고인돌을 축조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고인돌이 임진강변의 평지에 주로 분포한다는 것은 고인돌을 축조한 집단의 생활이 농경문화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음을 시사한다.
  임진강 유역에 분포하는 고인돌 중에서 형식을 알 수 있는 것은 140기 정도인데 탁자식 고인돌은 임진강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는 반면 개석식 고인돌은 탁자식에 비해 그 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임진강 유역 고인돌의 연대문제는 삼거리 유적, 옥석리 유적, 통현리 3호 고인돌의 무덤방 구조와 출토유물, 학곡리 2호 고인돌 출토유물 등을 검토해 볼 때 상한연대는 기원전 13세기 전후, 하한연대는 기원전 3세기를 전후한 시기로 잠정적인 연대를 설정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text studied the question of dating the distribution and construction of dolmens located in the main course and tributaries of the Imjin River at one current-view level of data arrangement rather than understood the general nature of the dolmen culture in the basin of the river.
  The survey made until now indicates that there are about 401 dolmens in forty-three areas in the main course and tributaries. Then, most of them are distributed in the main course rather than in the tributaries, but their number reduces toward the downstream and tributaries.
  Even though the river and tributaries include only one dolmen in one place, the forty places where for the most part two or more dolmens are distributed in one area secure the superiority over others. From the viewpoint that a dolmen is a tomb, the fact that various dolmens form a group in one region reveals the strong character that they constitute a cemetery prevalent universally and widely in the society at that time rather than the understanding that only a particular group constructed them.
  Approximately 290 dolmens show their conditions of location among the dolmens distributed in the river and tributaries. They tended to be placed in flatland as the topography of location, for the groups that constructed them limited most of their living space to the land and constructed them near the space. And the distribution of dolmens mainly in the flatland of the riverside suggests that the lives of the groups were closely related to agricultural culture.
  Approximately 140 dolmens show their forms among the dolmens distributed in the basin of the river. Table-style dolmens reduce from the upper stream to the downstream, whereas the number of covering stone-style ones tends to increase compared to that of table-style ones.
  Provisional dating for the dolmens in the basin of the river is possible with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13th century B.C. as a upper limit and with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3rd century B.C. as a lower limit.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고인돌 분포현황
Ⅲ. 고인돌 입지별 분포
Ⅳ. 고인돌 형식별 분포
Ⅴ. 고인돌 연대문제
Ⅵ.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민정(Choi Min-Jeong). (2006).임진강 유역의 고인돌 분포 연구. 선사와 고대, 25 , 385-407

MLA

최민정(Choi Min-Jeong). "임진강 유역의 고인돌 분포 연구." 선사와 고대, 25.(2006): 385-4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