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Study of the Chronology on the Paleolithic in Youngsan River Region
이용수 67
- 영문명
- Study of the Chronology on the Paleolithic in Youngsan River Region
- 발행기관
- 한국고대학회
- 저자명
- Lee Heon-Jong(이헌종)
- 간행물 정보
-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25輯, 221~24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지난 10년간 영산강유역에 분포하고 있는 구석기시대 유적들에 대해 동북아시아적 관점을 통한 석기의 기술형태분석, 4기 지질, 절대연대(AMS, OSL dating), 화분분석, 화산재 분석, 암석 분석 등의 자연과학 분석 내용을 망라하여 이 지역의 편년을 설정하여 보았다. 우선 그동안 우리나라의 편년 설정의 근간인 형식분류 기준과 유럽중심적 편년 체계를 비판하였고, 특히 최근 논의 되는 구석기시대의 문화유형론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이 지역에서는 모두 92개 지점의 구석기시대 유적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7개 유적이 발굴 되었고, 1개 지점이 층위연구가 이루어졌다. 영산강 하류에서 가장 먼저 발견된 장동리 용동 유적은 3개 지구로 나뉘어 연구되었으며, 그중 제 3지구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이 지구의 조사된 단면은 사면기원퇴적과 일부 풍성퇴적이 관찰되는 고토양층 840㎝가 연구되었으며, 17ka-230ka 까지 폭 넓은 갱신세 퇴적이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자연과학 및 석기의 기술형태 분석 결과 이 지역은 크게 중기구석기시대, 중기-후기 과도기 및 후기구석기시대 등 전 시기에 걸쳐 문화층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심이 되는 석기전통은 자갈돌석기전통이었다. 영산강유역 최초의 인류는 마지막 간빙기를 지나 처음 등장하였으며, 그들의 점거 흔적은 영산강유역 지류인 지석강과 삼포강에서 확인되었다. 중기-후기 구석기 과도기에 속한 유적으로는 당가유적 제2문화층, 도산유적, 화순 사창유적 최하층 등이다. 후기구석기시대로 진입하면서 당가유적 3문화층, 사창유적 2문화층, 촌곡유적 등의 유적에서 종장격지의 활용 확대, 격지석기 등장, 잔손질 기법 개선 등의 새로운 기법이 추가된 자갈돌석기전통이 나타난다. 물론 이 시기에 과도기에도 출토된 바 있는 주먹도끼를 비롯한 중량석기들이 출토되고 있다. 전체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이러한 자갈돌 석기전통은 장동리 용동유적의 AMS 결과에 따라 17ka-23ka까지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전형적인 후기구석기시대 유적은 이 지역에서 흔하지 않다. 하지만 화순 사창유적에서는 그 최상층에서 세형돌날문화와 연관된 석기군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uggested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chronology of Youngsan river region base on the interpretation on the techno-typological analysis of stone tools of the point of view of the Northeast Asia with natural scientific research such as quaternary geology, absolute dating (AMS, OSL etc.), pollen analysis, tephra analysis etc., Last decade, one found 92 sites with 7 excavated site and 1 site with natural scientific analysis(Yongdong site). The deposits of the Jangdongri site are ca. 840 ㎝ thick and consist of loess type deposits and paleosols from MIS 2~MIS 7. Judging from AT tephra, OSL and AMS ages, soil color and magnetic susceptibility first peopling came to the Youngsan river especially Jiseok and Sampo river, stream of Youngsan river after the last interglacial period. Pebble Tool Tradition constantly continued to the 17ka yr BP(Yongdong site) in this region. But in the transition from Middle to Upper paleolithic the main stone tool making technique was gradually and partly changed to the technique for the Upper Paleolithic. The typical sites are the 2nd layer of Dangga, Dosan and lowest layer Sachang site(40-50ka). This technique such as for making of blade core for the blade-like appeared in the several paleolithic sites, sustain of typical techno-typ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3rd cultural layer of Dangga, 2nd layer of Sachang site and Chongok site(30ka). Classical Upper Paleolithic site very rarely found in the Youngsan river basin. It has unique site, the uppermost cultural layer in Sachang site with the microblade culture.
목차
【Abstract】
Ⅰ. Preface
Ⅱ. Critical Review on Chronological Establishment
Ⅲ. The first habitation era of humankind in Youngsan River region
Ⅳ. Chronology of Upper Paleolithic and Cultural Change
Ⅴ. Conclusion
【Reference】
Ⅰ. Preface
Ⅱ. Critical Review on Chronological Establishment
Ⅲ. The first habitation era of humankind in Youngsan River region
Ⅳ. Chronology of Upper Paleolithic and Cultural Change
Ⅴ. Conclusion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Lower Recess from Zhoukoudian Upper Cave: A natural trap?
- 경기지역의 고인돌에 새겨진 굼의 연구
- 商代前期都城考
-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영남지역 고고학 자료를 통해 본 신라의 국가형성 - 전쟁의 역할을 중심으로
- 大湖 李隆助敎授 略歷 외
- 고인돌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 《경기지역의 고인돌연구》(우장문, 2006, 학연문화사) -
- 한국 청원군 두루봉 흥수굴 퇴적층의 지질분석 연구
- Research at the Zhoukoudian Site
- Recent Discovery of Handaxes Associated with Tektites in the Nanbanshan Locality of the Damei Site, Bose Basin, Guangxi, South China
- 中國 北方地帶와 夏家店上層文化의 청동투구에 대하여 - 기원전 11~8세기 중국 북방 초원지역의 지역간 상호교류에 대한 접근
- 청원 두루봉동굴 유적의 고고학적 접근
- 江華地域 酋長社會의 形成과 構造의 變化
- Symboles et Signes des Sources Archéologiques: les Thèmes Iconographiques de Représentation Préhistorique dans la Corée
- 韓國 支石墓 調査成果와 硏究傾向
- ‘社會’考古學 그 理論的 展開에 대하여
- 고구려의 청주지역 진출 시기
- 남한강유역 구석기공작의 일례 - 여주 연양리 구석기유적 Ⅱ지점을 중심으로
- 존(尊)의 기원과 계승성에 관한 시론
- A Mosaic Aspect of the Modern Human Mind
- Socio-ecological Research of the Circular Settlements in Japanese Early Upper Paleolithic
- 無文土器 甕棺墓 檢討
- 두루봉 연구 30년
- 中國東部首次發現大型鼠類長毛鼠(Diplothrix,Muridae)化石
- Study of the Chronology on the Paleolithic in Youngsan River Region
- 임진강 유역의 고인돌 분포 연구
- 청원 두루봉동굴 출토 동물상의 검토
- 원형점토띠토기의 변천과정 연구 - 서울ㆍ경기지역을 중심으로
- 학회소식 외
- 동아시아 출토 중기 플라이스토세 크로쿠타형 하이에나 화석
- INSTITUT DE PALÉONTOLOGIE HUMAINE
- 賀序
- 연해주의 청동기시대 연구현황에 대한 소고
- 고고학 자료의 유형화와 상대연대측정을 위한 통계분석의 문제점 -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법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