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치원 담임교사가 바라본 꼬마선생님 지윤이가 “잘한다는 것”의 의미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meaning of “Well-done” as perceived by the kindergarten homeroom teacher in the little teacher Ji-yoon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김선희 오채선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1호, 304~331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담임교사가 교실에서 바라본 꼬마선생님 지윤이의 ‘잘한다’는 모습과 그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꼬마선생님이란 교사가 기본생활습관이 잘 갖추어졌다고 인정하여 지목한 유아가 학급의 규칙과 질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한다. 담임교사는 꼬마선생님으로 자주 지목된 만 3세 김지윤을 참여자로 선정하고 관찰기록, 연구자 저널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담임교사가 유치원 교실에서 바라본 꼬마선생님 지윤이의 ‘잘한다’는 모습으로는 첫째, 선생님 역할 대신 하기이다. 둘째, 선생님 따라하기이다. 셋째, 선생님의 칭찬받기이다. 다음으로 담임교사가 바라본 꼬마선생님 지윤이의 ‘잘한다’는 모습의 의미는 첫째, 자격(資格): 인준받기 - 교사의 권력 나눠갖기이다. 둘째, 모방(模倣): 본받기 - 친구에게 바른 행동 가르치기이다. 셋째, 인정(認定): 길들여지기 - 교사의 기준 충족하기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가 유아를 자신만의 기준에서 바라보고 재단하며 ‘잘한다는 것’으로 평가했던 모습에서 벗어나 유아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well-done” behavior of the little teacher Ji-yoon, as observed by the kindergarten homeroom teacher in the classroom. In this study, the term “little teacher” refers to a child recognized by the teacher as having welldeveloped basic life habits, who plays a role in maintaining the class rules and order. The homeroom teacher selected Kim Ji-yoon, a 3-year-old child frequently identified as a little teacher, as a participant and collected and analyzed observation records and researcher journ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ehaviors of the little teacher Ji-yoon that the homeroom teacher observed as “well-done” include: first, taking on the role of the teacher; second, imitating the teacher; and third, receiving praise from the teacher. Next, the meanings of Ji-yoon's “well-done” behaviors, as seen by the homeroom teacher, are: first, qualification: being recognized - sharing the teacher's authority; second, imitation: learning from others - teaching peers appropriate behavior; and third, recognition: being trained - meeting the teacher's standard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 need for a shift in perception, moving away from evaluating children based on the teacher's own standards of what “well-done” means, and instead recognizing children as they a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희,오채선. (2025).유치원 담임교사가 바라본 꼬마선생님 지윤이가 “잘한다는 것”의 의미 탐색. 한국유아교육연구, 27 (1), 304-331

MLA

김선희,오채선. "유치원 담임교사가 바라본 꼬마선생님 지윤이가 “잘한다는 것”의 의미 탐색." 한국유아교육연구, 27.1(2025): 304-3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