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원특별자치도형 영유아중심 교육⋅보육 통합을 위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현황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for integration of child-centered education and childcare in Gangwon State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저자명
김현정 오아름
간행물 정보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1호, 222~254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강원특별자치도형 영유아중심 교육⋅보육 통합을 위해 강원특별자치도 유아교육 및 보육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린이집의 시설 수가 유치원 시설 수의 2.4배였으며, 시⋅군의 영유아 인구 수가 많은 지역은 사립유치원이나 민간어린이집 시설 수가 많았으며, 인구 수가 적은 지역은 공립유치원 및 국공립어린이집이 많았다. 둘째, 강원특별자치도의 유아 및 어린이집 보육 영유아 수는 민간어린이집, 국공립어린이집, 사립유치원 등의 순으로 나타나 민간어린이집 및 사립유치원의 시설 수는 국공립어린이집과 공립유치원에 비해 적으나 재원 영유아 수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유치원 교원 및 어린이집 교사 수는 설립주체별 재원 영유아 수와 시설 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강원특별자치도 모든 시⋅군의 유치원, 어린이집의 학급 당 유아 수 평균은 정원기준을 충족하거나 미달되고 있다. 다섯째, 유치원 교원 1인당 원아 수 평균은 8.3명이며, 어린이집은 3.9명이다. 여섯째, 유치원 취원율 및 어린이집 이용률은 0~5세 인구 수 중 90.2%에 달한다. 일곱째, 유치원 특수교육 및 장애아 보육현황은 장애여유아 수에 대비 시설 수 및 특수교사 수가 미달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강원특별자치도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지역별 특성이 두드러지므로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후속연구를 진행하여 지역별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in Gangwon State for the integration of child-centered education and childcare in Gangwon State. As a result, first, the number of daycare centers was 2.4 times the number of kindergarten facilities, and the areas with a large population of young children in cities and counties had a large number of private kindergartens or private daycare facilities, and the areas with a small population had a large number of public kindergartens and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Second,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in childcare centers in Gangwon State was in the order of private daycare centers,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and private kindergartens,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facilities in private daycare centers and private kindergartens is smaller than that of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but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is highe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was affected by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and facilities funded by the establishment entity. Fourth,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per class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all cities and counties in Gangwon State meets or falls short of the capacity standard. Fifth, the average number of children per teacher is 8.3 in kindergarten and 3.9 in daycare centers. Sixth, the kindergarten enrollment rate and daycare center utilization rate reach 90.2% of the population aged 0 to 5. Seventh, in terms of kindergarten special education and childcare for disabled children, the number of facilities and special teacher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number of disabled wome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inc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Gangwon State are promin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egional policies by conducting follow-up studie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강원특별자치도 유치원 및 어린이집 현황 비교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정,오아름. (2025).강원특별자치도형 영유아중심 교육⋅보육 통합을 위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현황 분석. 한국유아교육연구, 27 (1), 222-254

MLA

김현정,오아름. "강원특별자치도형 영유아중심 교육⋅보육 통합을 위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현황 분석." 한국유아교육연구, 27.1(2025): 222-2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