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ensi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play support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현주 이서연 고영미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1호, 55~7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놀이민감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남 소재 유아교사 318명을 대상으로 놀이민감성,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 놀이교수효능감, 놀이지원역량은 전체 및 하위요인은 모두 정적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교사의 놀이지원역량 전체 및 하위요인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놀이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인 놀이교수효능감에 대한 신념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놀이지원역량 전체 및 인지적 역량은 놀이민감성의 하위요인인 유아 이해가, 정의적 역량은 놀이 지원이, 실천적 역량은 놀이 관찰이 영향을 미쳤다. 이를 볼 때 유아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는 교사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이와 함께 교사가 유아의 놀이상황에 관심을 가지고 관찰하고 기록하며, 이를 바탕으로 유아를 이해하고 놀이를 지원하는 놀이민감성 또한 높여줄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ensi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as well as investigate the relative influence of play sensitivity and play teaching efficacy on play support competency. To achieve this, a survey on play sensi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was conducted with 318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ungn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l overall and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sensitivity,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upport competency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each other. Second, beliefs about play teaching efficacy, a sub-factor of play teaching efficacy, emerged 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overall play support competency and its sub-factors. Additionally, for overall play support competency and cognitive competency, child understanding(a sub-factor of play sensitivity) was influential; for affective competency, play support was influential; and for practical competency, play observation had an impac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rengthening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s about play teaching efficacy is crucial for enhancing their play support competence. Furthermore, fostering teachers' play sensitivity by encouraging them to observe, document, and engage with children's play experiences can contribute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children and more effective play suppor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은유분석을 통해 본 예비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 유치원 교사의 수업 관련 직무특성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기관의 자유놀이에서 놀이선호의 본질과 의미 탐색
-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과 교사와 유아상호작용 간의 관계: 놀이지원역량과 실행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기관장의 디지털 리더십 탐색
- 영아의 일상과 놀이에서 나타나는 관계적 생성과 변화
- 놀이⋅체험⋅생활중심의 통합적 환경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자연친화적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행력 함양을 위한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교과목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강원특별자치도형 영유아중심 교육⋅보육 통합을 위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현황 분석
- 한국전통의 선비정신에 기반한 유아교육전문가의 덕목과 책무 탐색
- 유치원 담임교사가 바라본 꼬마선생님 지윤이가 “잘한다는 것”의 의미 탐색
-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 및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유보통합에 대한 인식이 고용불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플라톤의 「법률」에 나타난 시가 교육의 재해석: 법치와 관련하여
- 유치원 교사의 수업 관련 직무특성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기관의 자유놀이에서 놀이선호의 본질과 의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