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기관장의 디지털 리더십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digital leadership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directo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조유경 김고은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1호, 95~13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기관장의 디지털 리더십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 그들의 관점에서 기관장이 갖추어야 할 디지털 리더십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24년 9월부터 12월까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유아반 담임교사 12명을 대상으로, 4그룹으로 나누어 초점 집단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FGI를 통해 수집된 면담 자료는 반복적이고 점진적인 과정을 통해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기관장의 디지털 리더십에 대해 교사와는 다른 수준과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았으며, 기관장의 이해와 관심, 관점에 따라 기관의 디지털 환경과 활용 방향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기관장의 디지털 리더십이 필수적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유아교사 관점에서 바라본 기관장이 갖춰야 할 디지털 리더십은 ‘디지털 환경에서의 기관 비전 제시’, ‘디지털 혁신을 위한 상호협력적인 기관 문화 조성’, ‘디지털 활용을 위한 교사 지원과 개입의 적당한 선 지키기’, ‘기관장의 디지털 이해, 소통 및 활용’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의 실천적 경험을 바탕으로 기관장의 디지털 리더십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디지털 활용과 유아교사의 디지털 역량 함양을 위해서 기관장의 디지털 리더십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digital leadership of directors and to explore the digital leadership that directors should possess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s. To achieve thi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with 12 preschool and daycare teachers, divided into 4 group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4. The interview data collected through the FGI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a repetitive and progressive process,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ved that the digital leadership of directors requires a different level and approach than that of teachers, and they recognized that the digital environment and direction of its use in the institution depend on the director's understanding, interest, and perspective, making the director's digital leadership essential. Second,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 the digital leadership that a director should have includes ‘presenting the institution's vision in a digital environment’, ‘creating a collabo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for digital innovation’, ‘maintaining an appropriate balance in teacher support and intervention for digital integration’, and ‘the director's digital understanding, communication, and utilization’. Thes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explore the digital leadership of directors based on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y suggest that digital leadership is important for the digital utiliz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eachers' digital competenc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은유분석을 통해 본 예비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 유치원 교사의 수업 관련 직무특성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기관의 자유놀이에서 놀이선호의 본질과 의미 탐색
-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과 교사와 유아상호작용 간의 관계: 놀이지원역량과 실행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기관장의 디지털 리더십 탐색
- 영아의 일상과 놀이에서 나타나는 관계적 생성과 변화
- 놀이⋅체험⋅생활중심의 통합적 환경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자연친화적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행력 함양을 위한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교과목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강원특별자치도형 영유아중심 교육⋅보육 통합을 위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현황 분석
- 한국전통의 선비정신에 기반한 유아교육전문가의 덕목과 책무 탐색
- 유치원 담임교사가 바라본 꼬마선생님 지윤이가 “잘한다는 것”의 의미 탐색
-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 및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유보통합에 대한 인식이 고용불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플라톤의 「법률」에 나타난 시가 교육의 재해석: 법치와 관련하여
- 유치원 교사의 수업 관련 직무특성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기관의 자유놀이에서 놀이선호의 본질과 의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