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의 일상과 놀이에서 나타나는 관계적 생성과 변화
이용수 0
- 영문명
- The creation and change of relationships in the daily life and play of infant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 저자명
- 최이수 오채선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연구』제27권 제1호, 132~163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아들이 교실의 일상과 놀이 속에서 타자와 마주치며 이루어지는 관계적 생성과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평택시 나무어린이집 씨앗반의 0세 영아 6명을 대상으로 2024년 8월부터 12월까지 5개월간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특히 민호, 로하, 재윤, 재우 4명의 영아를 중심으로 관찰기록, 연구자 저널, 영상 전사자료, 교사 면담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영아의 관계적 생성과 변화는 ‘나를 알아가는 과정’과 ‘관계 속에서 자라나기’로 나타났다. ‘나를 알아가는 과정’에서는 자신의 신체와 능력 탐색하기, 일상 속 자기 표현하기, 어린이집에서 안정감 찾기가 드러났다. ‘관계 속에서 자라나기’에서는 또래에 대한 관심 보이기, 서로의 감정 알아가기, 함께하는 즐거움 알아가기가 나타났다. 영아들은 계단 오르기, 천 놀이, 바구니 놀이 등의 일상적 경험을 통해 자신의 능력을 발견하고 타인과의 관계를 형성해 나갔다. 이 과정에서 교사는 영아들의 자발적 시도를 존중하고 안전을 확보하는 균형 있는 지원을 제공했으며, 영아들의 반응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놀이 환경을 조정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영아들이 교사, 또래, 물질과의 관계적 마주침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하는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존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영아보육 현장에서 관계적 생성의 관점으로 영아를 이해하고 지원하는 것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영아들의 일상적 놀이와 탐색을 단순한 발달적 성장으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영아가 주변 세계와 관계 맺으며 의미를 만들어가는 과정으로 인식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flow of relational creation and change that occurs when infants encounter others in the daily routines and play in the classroom. To this end, the Seed Class of Namu Childcare Center in Pyeongtaek City observed the six infants aged 0 for five months from August to December 2024. In particular, we collected various data, including observation records, researcher journals, video transcriptions, and teacher interviews, and conducted qualitative analysis focusing on the four infants, Minho, Roha, Jae-yoon, and Jae-woo.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relational formation and change of infants is a process of “getting to know oneself” and “growing up in relationships.” In the ‘process of getting to know myself’, it was revealed that they explored their bodies and abilities, expressed themselves in everyday life, and found a sense of security in the daycare center. In “Growing Up in Relationships,” the children showed interest in their peers, learned about each other's feelings, and learned about the joy of being together. In particular, the infants discovered their abilities and formed relationships with others through everyday experiences such as climbing stairs, playing with cloth, and playing with baskets, and the teachers' sensitive suppor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at infants are generative beings who constantly change and grow in their relational encounters with teachers, peers, and materials. Thes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infants from the perspective of relational creation in the field of infant ca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은유분석을 통해 본 예비유아교사의 바깥놀이에 대한 인식
- 유치원 교사의 수업 관련 직무특성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기관의 자유놀이에서 놀이선호의 본질과 의미 탐색
-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과 놀이교수효능감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놀이민감성과 교사와 유아상호작용 간의 관계: 놀이지원역량과 실행의 직렬다중매개효과
-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기관장의 디지털 리더십 탐색
- 영아의 일상과 놀이에서 나타나는 관계적 생성과 변화
- 놀이⋅체험⋅생활중심의 통합적 환경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과 자연친화적태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 실행력 함양을 위한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교과목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강원특별자치도형 영유아중심 교육⋅보육 통합을 위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현황 분석
- 한국전통의 선비정신에 기반한 유아교육전문가의 덕목과 책무 탐색
- 유치원 담임교사가 바라본 꼬마선생님 지윤이가 “잘한다는 것”의 의미 탐색
- 원장의 진성리더십이 유아교사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성찰 및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
- 보육교사의 유보통합에 대한 인식이 고용불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플라톤의 「법률」에 나타난 시가 교육의 재해석: 법치와 관련하여
- 유치원 교사의 수업 관련 직무특성이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수몰입의 매개효과
- 유아교육기관의 자유놀이에서 놀이선호의 본질과 의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