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상담사의 푸드표현예술치료를 통한 소진회복 - 자문화기술지를 중심으로 -

이용수 0

영문명
Burnout Recovery of Youth Counselors through Food Expressive Arts Therapy - Focusing on Autoethnography -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김성은 진명일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20권 제4호, 241~26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상담사의 푸드표현예술치료를 통한 소진회복 과정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21년 3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자료를 수집하고 교수 1인, 박사 2 인에게 연구에 대한 피드백을 받으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연구자의 주관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자신의 시점에서 서술하고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는 개인 내부자적 관점을 강조하는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소진과 회복경험을 이야기 하였다. 연구자는 성찰메모, 자기회상 자료, 푸드작품 결과물 사진 등을 수집 분석하고 고백적-감성적 글쓰기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다양한 이슈를 가지고 오는 청소년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상담을 진행하면서 책임 감과 성장에 대한 강한 욕구 등으로 자존감 저하, 불안, 무력감 등으로 표현되는 상담사의 소진을 경험하였다. 둘째, 셀프테라피의 방법으로 푸드표현예술치료를 선택해 자기돌봄을 경험하고, 작품과의 만남을 통해 소진회복을 경험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푸드표현예술치료가 청소년 상담사의 소진회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푸드표현예술치료의 상담학적 적용 범위를 넓히고 상담사의 소진과 회복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의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burnout recovery process through food expressive arts therapy for youth counselo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21 to December 2023 a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feedback from one professor and two doctors. The burnout and recovery experiences were discussed through autoethnography, which emphasizes the personal insider perspective of the researcher, who describes and collects and analyzes data from one’s own perspectives based on one’s subjective experiences.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reflective notes, self-recollection data and photos of food artwork products,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confession-emotional writing. First, the researcher experienced burnout expressed as decreased self-esteem, anxiety and helplessness due to the responsibility and strong desire for growth while conducting counseling for youth clients with various issues. Second, the researcher selected Food Expressive Arts Therapy as a method of self-therapy and experienced self-care and burnout recovery through artworks.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effect of food expressive arts therapy on burnout recovery of youth counselors.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expand the scope of counseling application in food expressive arts therapy and provide data on specific methods that can help the counselor's burnout and recovery proc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은,진명일. (2024).청소년상담사의 푸드표현예술치료를 통한 소진회복 - 자문화기술지를 중심으로 -. 예술심리치료연구, 20 (4), 241-262

MLA

김성은,진명일. "청소년상담사의 푸드표현예술치료를 통한 소진회복 - 자문화기술지를 중심으로 -." 예술심리치료연구, 20.4(2024): 241-2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