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 여성을 위한 사찰 기반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 실존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a Temple-Based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Focusing on Self-Compassion, Life Satisfaction, and Existential Well-being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김현진(인해)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2권, 39~5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을 위한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자기자비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실존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가?였다. 이를 위하여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자기자비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실존적 안녕감 척도를 활용하여 사전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자기자비의 하위요인인 마음챙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친절은 참여한 후 참여하기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평균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삶의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정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실존적 안녕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중년 여성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사찰 기반의 불교명상적 개입의 효과를 입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es the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affect the self-compassion of middle-aged women? Second, does the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Third, does the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affect the existential well-being of middle-aged women? To address these questions, a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was conducted with middle-aged women, and pre- and post-surveys were conducted using the Self-Compassion Scale, Life Satisfaction Scale, and Existential Well-being Scale.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paired samples t-tes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the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mindfulness, a subfactor of self-compassion. Self-kindn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an after participation compared to before participation. Second, participation in the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positive affect, a subfactor of life satisfaction.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n existential well-being following participation in the self-compassion meditation progra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demonstrating the effects of Buddhist meditation interventions based on temple practic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중년 여성을 위한 사찰 기반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 실존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 사섭법기반요가명상프로그램참여경험에대한질적 연구
- 육조 혜능대사 성지순례를 통한 순례명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템플스테이기반금연명상프로그램참여경험연구: 흡연 중독을 중심으로
- 자살, 욕망이 지닌 또 다른 얼굴
- 청소년 상담에서 영상관법의 적용 가능성 탐구
-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과정 현황 및 개선방향: 국내 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 자아초월 심리치료 방법: 웰우드와 부어스타인의 관점중심
- 간디의 고집-사뜨야그라하(Satyāgraha)와 두라그라하(durāgraha)
- 우든피시 글로벌 명상수행 프로그램에 참여한 외국인의 특성에 따른 마음챙김, 자기자비,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중년 여성을 위한 사찰 기반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 실존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