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Effects of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program on college students' mindfulnes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experience avoidance, and trait anxiety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안세윤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2권, 1~11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가자는 대전지역 K대학교에 교양수업에 참여한 수강생 35명을 대상으로 2024년 4월부터 6월까지 MBCT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을 위해 마음챙김 5요인 척도, 지각된 스트레스 척도, 우울(CES-D)척도, 다차원적 경험회피 척도, 특성불안 척도를 프로그램의 사전과 사후에 측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BCT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마음챙김의 수준을 증가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음챙김의 하위요인 중 관찰, 비자동성, 그리고 기술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변화가 나타났다. 둘째, MBCT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의 수준에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MBCT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우울의 수준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MBCT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경험회피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회치의 하위요인 중 지연행동과 회피행동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변화가 나타났다. 다섯째, MBCT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특성불안의 수준에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보완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programs on mindfulness, perceived stress, depression, experience avoidance, and trait anxiety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in the study conducted the MBCT program from April to June 2024 for 35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liberal arts classes at K University in Daejeon. For measurement, the mindfulness 5-factor scale, perceived stress scale, depression scale (CES-D), multidimensional experiential avoidance scale, and trait anxiety scal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BCT program was found to increase the level of mindfulness in college students. In particular, among the sub-factors of mindfulness,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observing, non-reactivity, and describing. Second, the MBCT program did not show any change in the perceived level of 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Third, the MBCT program did not show any change in the level of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Fourth, the MBCT program was found to reduce the level of experiential avoidance of college students, and among the sub-factors of experiential avoidance,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procrastination and behavioral avoidance. Fifth, the MBCT program did not show any change in the level of trait anxiety of college student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supplemen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세윤. (2024).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1-11

MLA

안세윤.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24): 1-1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