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 상담에서 영상관법의 적용 가능성 탐구

이용수 0

영문명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Reflected Image Meditation in Adolescent Counseling
발행기관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저자명
이보미
간행물 정보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2권, 125~135쪽, 전체 1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상담에서 영상관법(Reflected Image Meditation)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연구 대상은 대학원에서 심리치료를 전공하는 <청소년 상담> 과목 수강생 15명이며, 이들에게 집단 영상관법을 실시한 후 그 중 6명이 자발적으로 제출한 (1) 영상관법 경험 소감과 (2) 청소년 상담에서 영상관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기술한 자료를 해석현상학적 분석(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영상관법 경험 소감에 대한 4개의 상위주제는 ① 감정적 깨달음과 수용, ② 자기 인식과 변화의 시작, ③ 정서적 이완과 안정감, ④ 감정 조절의 어려움과 극복이었으며, (2) 청소년 상담에서 영상관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4개의 상위주제는 ①자기 인식과 감정 직시, ② 감정 조절과 대처 능력 강화, ③ 관계와 맥락적 이해 증진, ④ 인지적 왜곡 탐색 및 교정으로 도출되었다. 각 상위주제는 여러 하위주제로 세분화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상담에서 영상관법이 미치는 긍정적 가능성을 논의하고, 영상관법이 청소년 상담에서 기존 접근법들과 통합적으로 결합되어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의 시사점과 후속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applicability of Reflected Image Meditation in adolescent counseling. The participants were 15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psychotherapy, enrolled in the course Adolescent Counseling. After conducting group Reflected Image Meditation sessions, six of these students voluntarily submitted written reflections on (1) their experiences with Reflected Image Meditation and (2)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this meditation in adolescent counseling. These reflections were analyzed using the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IPA) method. The analysis revealed four main themes for (1) experiences with Reflected Image Meditation: 1 emotional insight and acceptance, 2 self-awareness and the beginning of change, 3 emotional relaxation and stability, and 4 challenges and progress in emotion regulation. Additionally, four main themes emerged for (2) the applicability of Reflected Image Meditation in adolescent counseling: 1 self-awareness and confronting emotions, 2 enhanced emotional regulation and coping skills, 3 improved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and contextual awareness, and 4 exploration and correction of cognitive distortions. Each main theme was further divided into several subthem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the positive potential of Reflected Image Meditation in adolescent counseling and suggests its use as a new counseling approach.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보미. (2024).청소년 상담에서 영상관법의 적용 가능성 탐구.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 125-135

MLA

이보미. "청소년 상담에서 영상관법의 적용 가능성 탐구."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 (2024): 125-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