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집 교사의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diation effect of goal orientation on the effect of mindfulness on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고효림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2권, 13~2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의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교사 187명을 대상으로 연구했으며, 마음챙김, 목표지향성, 직무만족도를 측정하는 설문을 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SPSS Process Macre Model 4번을 실시하고, 매개효과,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첫째, 마음챙김, 목표지향성, 직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음챙김은 목표지향성과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목표지향성은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음챙김과 직무만족도에 목표지향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어린이집 교사만을 대상으로 진행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직업군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goal orientation in the effect of mindfulness of daycare teachers on job satisfac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187 teachers working at daycare centers, a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measure mindfulness, goal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On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PSS Process Macro Model 4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nd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mindfulness. Goal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mindfuln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goal orientation and job satisfaction, and goal orienta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ird, goal orientation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mindfulness and job satisfac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daycare teachers, follow-up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in various occupational groups in subsequent studies.
목차
I. 서론
II.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중년 여성을 위한 사찰 기반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 실존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 사섭법기반요가명상프로그램참여경험에대한질적 연구
- 육조 혜능대사 성지순례를 통한 순례명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템플스테이기반금연명상프로그램참여경험연구: 흡연 중독을 중심으로
- 자살, 욕망이 지닌 또 다른 얼굴
- 청소년 상담에서 영상관법의 적용 가능성 탐구
-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과정 현황 및 개선방향: 국내 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 자아초월 심리치료 방법: 웰우드와 부어스타인의 관점중심
- 간디의 고집-사뜨야그라하(Satyāgraha)와 두라그라하(durāgraha)
- 우든피시 글로벌 명상수행 프로그램에 참여한 외국인의 특성에 따른 마음챙김, 자기자비,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중년 여성을 위한 사찰 기반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 실존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