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든피시 글로벌 명상수행 프로그램에 참여한 외국인의 특성에 따른 마음챙김, 자기자비,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이용수 5
- 영문명
- Differences in mindfulness, self-compassion, gratitud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ers participating in the Woodenfish Global Meditation Practice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 저자명
- 임동욱(월엄)
- 간행물 정보
- 『명상심리상담(구 명상치료연구)』제32권, 147~16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든피시 글로벌 명상수행 프로그램에 참여한 외국인의 특성에 따른 마음챙김, 자기자비,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참여 특성에 따른 외국인 템플스테이 참여자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향후 외국인 대상의 우든피시 글로벌 명상수행 프로그램 구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월정사에서 진행된 2024년 7월 글로벌 명상수행 프로그램에 참여한 외국인 참여자 58명을 대상으로 마음챙김, 자기자비,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활용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라 마음챙김, 자기자비,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연령에 따라 마음챙김, 자기자비,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의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참여계기에 따라 마음챙김, 자기자비, 감사성행,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참여계기에 따라 자기자비의 하위요인인 자기친절에서 유의미하게 평균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마음챙김,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은 참여계기에 따라 유의미한 평균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종교 유무에 따라 마음챙김, 자기자비,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종교유무에 따라 마음챙김, 자기자비,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의 평균에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전 명상 경험에 따라 마음챙김, 자기자비,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이전 명상 경험에 따라 마음챙김, 자기자비,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의 평균에 차이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사찰에서 진행하는 명상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외국인의 심리·정서적 특성과 그들의 요구에 맞는 템플스테이 구성을 위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mindfulness, self-compassio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ers who participated in temple-based meditation programs, thereby understanding the experiences of foreign temple stay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organizing temple-based meditation programs for foreigners in the future.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scales of mindfulness, self-compassio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argeting 58 foreign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global meditation practice program held at Woljeongsa Temp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mindfulness, self-compassio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mindfulness, self-compassio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age.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mindfulness, self-compassio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occas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self-kindness, a sub-factor of self-compassion,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occas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mindfulness,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occas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mindfulness, self-compassio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religious presence or abs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mindfulness, self-compassio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religious presence or absence.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mindfulness, self-compassio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previous meditation experie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of mindfulness, self-compassion, gratitude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epending on the previous meditation experience. This study provided basic information for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foreigners participating in meditation programs conducted at Korean temples and for organizing temple stay programs that meet their needs.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중년 여성을 위한 사찰 기반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 실존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 사섭법기반요가명상프로그램참여경험에대한질적 연구
- 육조 혜능대사 성지순례를 통한 순례명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템플스테이기반금연명상프로그램참여경험연구: 흡연 중독을 중심으로
- 자살, 욕망이 지닌 또 다른 얼굴
- 청소년 상담에서 영상관법의 적용 가능성 탐구
-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위한 다문화 교육과정 현황 및 개선방향: 국내 교육대학교를 중심으로
- 자아초월 심리치료 방법: 웰우드와 부어스타인의 관점중심
- 간디의 고집-사뜨야그라하(Satyāgraha)와 두라그라하(durāgraha)
- 우든피시 글로벌 명상수행 프로그램에 참여한 외국인의 특성에 따른 마음챙김, 자기자비, 감사성향,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인천대학교 대학생활상담센터 사업 체계 구축 및 운영 사례
- 수성대학교 학생상담센터 PERSON모형과 비교과 연계 심리체계모형
- 대학생 조기 대학적응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활용 사례 연구: 인덕대학교 The 모노 또래 멘토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