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예술치유에서의 치유적 개입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atory Research on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in Social Art Healing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정선 조은아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0권 제4호, 81~10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치유가 필요한 대상자의 범위를 일반적인 사회적 폭력, 범죄, 중독 피해자에서부터 국가적 차원의 자연재해와 인적 재난까지 포괄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연구는 이들의 트라우마 치유가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차원의 치유적 개입과 접근이 필요하다는 전제하에, 개념도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사회적 예술치유에서의 치유적 개입 요인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예술치유 분야의 전문가 9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다양한 사례로부터 치유적 개입요인을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33개의 치유적 개입요인이 도출되었고, 유사성 분류와 중요도 평가를 거쳐 다차원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통해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예술치유에서의 치유적 개입 요인은 개인적 차원과 사회적 차원으로 구분되며, 각각 기획 단계에서의 고려 요인과 실행 개입 요인으로 구별되는 것으로 나타나, 총 네 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기획 단계에서 개인적 차원의 치유적 개입 요인’, ‘기획 단계에서 사회적 차원의 치유적 개입 요인’, ‘사회적 차원에서의 실행 개입 요인’, ‘개인적 차원에서의 실행 개입 요인’ 등 군집별 차별성에 근거한 보다 정교한 치유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예술치유에서의 치유적 개입 요인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roached the scope of individuals in need of social healing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ranging from victims of general social violence, crime, and addiction to national-level natural disasters and human-made calamiti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in social art healing using the concept mapping. To accomplish thi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art therapy experts, and intervention factors were extracted from various case studies. Ultimately, 33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were identified, classified by similarity, and evaluated for importance. A concept map was generat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in social art healing can be categorized into personal and social dimensions, with distinct factors emerging at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stages. These factors were grouped into four clusters: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at the personal level during the planning stage,’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at the social level during the planning stage,’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at the social level during the implementation stag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at the personal level during the implementation stage.’ The study suggests the need for more sophisticated therapeutic interventions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The implications of these therapeutic intervention factors in social art healing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적 예술치유에서의 치유적 개입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암 생존자인 예술가의 예술을 통한 치유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여고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수용 - 포커싱 아트 진로탐색 프로그램 경험을 중심으로
- 자기자비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미술치료사의 소진과 자기자비에 미치는 효과
- 자아존중감이 낮은 틱 증상 아동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미술치료 사례연구
- 발달장애인 대상 통합예술치료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장애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 노래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상담사의 푸드표현예술치료를 통한 소진회복 - 자문화기술지를 중심으로 -
- ADHD 경향을 지닌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중년 여성을 위한 사찰 기반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 실존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