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s to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PPAT) Assessment According Career Maturity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한진덕 제갈선아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20권 제4호, 219~24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의 반응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장애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PPAT 그림검사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장애대 학생들의 진로성숙도 수준을 알아볼 수 있는 보조적 진단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학교에 재학중인 장애대학생으로 총 139명에게 진로성숙도검사 와 PPAT 그림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부실기재 2명을 제외한 137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137명의 자료를 진로성숙도 상위 27%집단(37명)과 하위27%집단(37명)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PPAT 그림검사의 형식척도(FEATS)와 내용척도(Contents Scale)를 사용하여 살펴 보았다. 분석된 자료 중 형식척도 반응특성은 독립표본 t검증으로, 내용척도 반응특성은 교차 분석(x2)을 실시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형식척도 14개 항목 중 총6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내용척도 13개 항목 중 총5개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PPAT 그림검사가 자기보고식 질문지검사를 보완해 줄 수 있는 도구로 서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turity and PPAT picture tes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PPAT picture test according to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sing it as an auxiliary diagnostic tool to find out the level of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conducted career maturity tests and PPAT picture tests on a total of 139 students. Of these, 137 data were collected excluding two poor entries. The data of 137 people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data into the top 27% group (37 persons) and the bottom 27% group (37 persons), and the results were examined using the FEATS and Contents Scale of the PPAT picture test. Among the analyzed data, the formal scale response characteristics wer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the content scale response characteristics were cross-analysis (x2). As a resul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a total of 6 items out of 14 items on the formal scal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a total of 5 items out of 13 items on the content scale.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PPAT picture tes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use as a tool that can supplement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tes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진덕,제갈선아. (2024).장애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20 (4), 219-240

MLA

한진덕,제갈선아. "장애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예술심리치료연구, 20.4(2024): 219-24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