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노래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Song-based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on the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s in a Day Care Center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김수현 황은영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20권 제4호, 33~5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래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검사지 응답과 의사소통이 가능하며 청력에 이상이 없고 음악치료 경험이 없는 노인으로 실험집단 17명, 통제집단 17명으로 무선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노래중심 치료적 음악 활동을 매주 1회 60분씩 총 8회 시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관련 중재를 하지 않았다. 측정도구로 고독감은 Russell, Peplau와 Cutrona(1980)가 개발한 UCLA 고독감 척도를 원형중(1994)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삶의 만족도는 Neugarten, Havighurst와 Tobin(1961)가 개발한 노인의 삶의 만족도 척도(Life Satisfaction Index-Z)를 이창은(1999)이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고독감 점수는 통제집 단에 비해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의 삶의 만족도 점수는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증진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래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고독감 감소와 삶의 만족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후 노인들의 특성에 맞는 심리, 정서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a song-based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on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s in a day care center. The subjects were aged 65 years or older, agreed to participate, demonstrated effective communication and questionnaire response without hearing issues, and had no prior experience with music therapy.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sisted of 17 subjects each.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weekly 60-minute sessions of song-based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for a total of eight sessions. Loneliness levels were assessed using the UCLA Loneliness scale, developed by Russell et al.(1980) and modified by Won(1994). Life satisfaction levels were measured using the Life Satisfaction Index-Z for the elderly, created by Neugarten, Havighurst, and Tobin(1961) and translated by Lee(1999). The results are that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oneliness scores and life satisfaction scor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sequently, this study confirms the positive impact of song-based therapeutic music activities on loneliness and life satisfaction among elderly individuals in day care centers. These findings hold significance as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programs tailored to eld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현,황은영. (2024).노래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20 (4), 33-54

MLA

김수현,황은영. "노래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20.4(2024): 33-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