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자비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미술치료사의 소진과 자기자비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5
- 영문명
-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based Group Art Therapy on Art Therapists’ Burnout and Self-compassion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안수진 박은선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0권 제4호, 163~19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자기자비 기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후, 이에 따른 미 술치료사의 소진과 자기자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집단미술치료는 주 1회, 90 분씩, 총 8회기 실시되었으며, 연구대상은 실험・통제집단으로 각각 7명씩 무선 배치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도구는 한국 상담자 소진 척도(K-CBI)와 자기자비 척도(SCS)이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7.0으로 분석하였으며, 맨-휘트니 U 검정(Mann-Whitney U test)으로 각 집단의 동질 성을 확인하고,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s signed-rank test)으로 개입 효과성을 평가 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소진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자기자비 수준은 증가 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연구에서는 미술치료사의 소진을 완화하고 자기자비를 향상시키는데 있어 자기자비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자기자비 기반 미술치료가 미술치료사의 심리적 건강을 증진시 키는 효과적인 전략임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미술치료사의 소진 예방과 관리를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compassion based group art therapy on art therapists' burnout and self-compassion after implementing the therapy. The therapy sessions were held once a week for 90 minutes, for a total of eight session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seven participants in each group. The research instruments included the Korean Counselor Burnout Inventory (K-CBI) and the Self-Compassion Scale (SC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7.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7.0.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assess group homogeneity, and Wilcoxon’s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intervention effectiveness. Results showed that burnout significantly decreased and self-compass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ere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validate that self-compassion based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alleviating burnout and enhancing self-compassion among art therapis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empirical validation of self-compassion based art therapy as an effective strategy for improving art therapis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resenting a new approach to preventing and managing burnout among art therapis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적 예술치유에서의 치유적 개입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암 생존자인 예술가의 예술을 통한 치유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여고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수용 - 포커싱 아트 진로탐색 프로그램 경험을 중심으로
- 자기자비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미술치료사의 소진과 자기자비에 미치는 효과
- 자아존중감이 낮은 틱 증상 아동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미술치료 사례연구
- 발달장애인 대상 통합예술치료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장애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 노래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상담사의 푸드표현예술치료를 통한 소진회복 - 자문화기술지를 중심으로 -
- ADHD 경향을 지닌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중년 여성을 위한 사찰 기반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 실존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