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HD 경향을 지닌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Art Therapy for Reducing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 with ADHD Tendency: A Single Case Study
- 발행기관
-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 저자명
- 김도희 전영희
- 간행물 정보
- 『예술심리치료연구』제20권 제4호, 1~3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ADHD 경향성과 함께 임상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위축/우울, 사회적 미성숙, 사고 문제를 보이는 8세 남아를 대상으로 실시된 미술치료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미술치료의 과정과 유용성을 밝히고자 한다. 미술치료는 주 1회, 60분씩 총 21회기가 진행되었으며 정서행동문제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미술치료 사전과 사후에 수집한 K-ADHDDS, K-CBCL, HTP와 LMT 그림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만다라 꾸미기, 프로타주, 난화 이야기 만들기, 점토 활동을 포함한 전체 미술치료 과정을 상세히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정서행동문제가 정상 범위로 감소하였고 부주의, 과잉행동과 충동성도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술치료 중재 전에는 작은 그림을 그리고 말로 설명하지 못하거나 빠르게 휘갈겨 그리고 색칠하며 산 만하게 풍경을 그려내었는데, 사후에는 적절한 크기의 활동적인 인물 그림을 그리고 말로 유창하게 설명해낼 수 있었으며 전체적인 구성을 고려하면서 천천히 풍경을 그려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의 과정을 상세히 제시함으로써 기존 문헌에 기여하며, 다양한 정서행동문제를 다루는 개별화된 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lluminate the process and benefits of art therapy through a case study of an 8-year-old boy exhibiting typical ADHD characteristics and clinically significant levels of withdrawal/depression, socially immature, thought problems. Art therapy was conducted weekly over 21 sessions, each lasting 60 minutes. To evaluate changes in emotional and behavioral issues, pre- and post-therapy assessments were conducted using the K-ADHDDS, K-CBCL, and HTP and LMT drawings. The art therapy process, including activities such as mandala decorating, frottage, scribble & squiggle story making, and clay work, was meticulously documented. Results indicated a normalization i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llenges, with marked improvements in inattention, hyperactivity, and impulsivity. Initially, the child drew a small picture, and was unable to verbally articulate his thoughts, resorting to hasty scribbling and coloring to create confusing images. Post-therapy, he demonstrated the capability to draw active figures of appropriate size and to verbally explain these drawings fluently. Furthermore, he meticulously composed landscapes, considering the overall composi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existing literature by presenting specific art therapy strategies, highlighting the necessity of an individualized approach to address various emotional and behavioral issu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lso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적 예술치유에서의 치유적 개입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암 생존자인 예술가의 예술을 통한 치유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여고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수용 - 포커싱 아트 진로탐색 프로그램 경험을 중심으로
- 자기자비 기반 집단미술치료가 미술치료사의 소진과 자기자비에 미치는 효과
- 자아존중감이 낮은 틱 증상 아동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미술치료 사례연구
- 발달장애인 대상 통합예술치료의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장애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에 따른 사과 따는 사람(PPAT) 그림검사 반응특성 연구
- 노래중심 치료적 음악활동이 주간보호센터 노인의 고독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상담사의 푸드표현예술치료를 통한 소진회복 - 자문화기술지를 중심으로 -
- ADHD 경향을 지닌 아동의 정서행동문제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 단일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MBCT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마음챙김, 지각된 스트레스, 우울, 경험회피, 특성불안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 교사의 마음챙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에 대한 연구
- 중년 여성을 위한 사찰 기반 자기자비 명상 프로그램의 효과: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 실존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