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고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수용 - 포커싱 아트 진로탐색 프로그램 경험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Career Barriers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 The Experience of the Focusing-Oriented Art Career Exploration Program(FOACEP)
발행기관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저자명
주은선 류예진
간행물 정보
『예술심리치료연구』제20권 제4호, 137~16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커싱 아트 프로그램이 여고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수용을 돕는지 확인하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참가자는 서울권 여자고등학교 17세-18세를 15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Giorgi의 기술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녹취록과 보고서를 분석하였다. 자료는 5개의 회기 보고서, 실습 과정이 담긴 녹취록, 아트 작업물을 수집하였다. 분석결과는 3개의 구성요소, 6개의 하위 구성요소, 12개의 의미단위가 구성되었다. 첫 번째 구성요소는 ‘진로장벽을 만날 안전한 장소 마련’으로 하위 구성요소는 ‘여유감을 확보하면서 신체와 사고를 연결’, ‘진로장벽과 접촉하기 위한 준비’이다. 두 번째 구성요소는 ‘집단 상호작용을 통해 필요했던 진로탐색을 경험’으로 하위 구성 요소는 ‘동료와의 아트작업을 통해 자기 알아가기’, 동료의 지지를 기반으로 자신의 감각에 민감 해질 용기를 얻음’이다. 세 번째 구성요소는 ‘진로장벽에 휩쓸리지 않는 방파제 마련’으로 하위 구성요소는 ‘진로에서 자신이 중요하게 대하는 것이 무엇인지 구체화’, ‘진로탐색의 애매모호함을 수용’이다. 본 연구는 포커싱의 주변정리 작업과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을 기반으로 한 동료와의 상호작용이 진로장벽을 수용하도록 돕는다는 것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FOACEP helps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 and accept career barriers. The participants were 15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ged 17 to 18 from schools in the Seoul area. The transcripts and reports were analyzed us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data consisted of five session reports, transcripts of the practical processes, and collected art works. The analysis resulted in three components, six sub-components, and 12 meaning units. The first main component is “Providing a Safe Space to Encounter Career Barriers” with sub-components being “Securing a sense of ease while connecting the body and mind” and “Preparing to Contact Career Barriers” The second main component is “Experiencing needed career exploration through group interactions” with sub-components being “Understanding oneself through art projects with peers” and “Gaining the courage to be sensitive to one's own senses based on the support of peers” The third main component is “Establishing a Breakwater Against Being Swept Away by Career Barriers” with sub-components being “Clarifying What Is Important to Oneself in Career” and “Accepting the Ambiguity of Career Explor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how interactions with peers, based on focusing's clearing a space technique and 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help in accepting career barri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은선,류예진. (2024).여고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수용 - 포커싱 아트 진로탐색 프로그램 경험을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20 (4), 137-161

MLA

주은선,류예진. "여고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수용 - 포커싱 아트 진로탐색 프로그램 경험을 중심으로." 예술심리치료연구, 20.4(2024): 137-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