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이용수 75
- 영문명
- Analysis of Secondary Special Teachers' Physical Education Subject Operation Experience and Support Needs According to Teacher Development Stage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장철승 조창빈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3권 제2호, 527~54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된 총 148부의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첫째, 148명의 특수교사 중 93명이 체육교과 운영 경험이 있으며 체육활동을 통해 가치 및 태도, 기본 움직임 및 스포츠 기술 습득과 학생의 정서적 안정 꾀하고자 하였다. 교수형태와 평가 방법에서 초보교사는 단독 교수 및 직접 평가인 반면 고참교사는 외부 강사 주도/특수교사 보조 형태 그리고 직접 평가뿐 아니라 외부 강사 평가도실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특수교사는 추후 체육교과를 운영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체육교과를 운영하지 않은 이유로는 업무 부담 가중, 운영 예산 부족, 구성원 간 협조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교과 운영을위해 충분한 장소, 시설, 기자재 제공, 학교 및 지역사회 구성원 간 협력, 연수 기회순으로 요구가 높았고 연수 기회 제공과 학생의 추수 지도, 지역 연계 체제 구축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riences in operating physical education and support needs according to their stage of teacher developmen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0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secondary schools, and the data from 148 returned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93 of the 148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experience in operating physical education, and they aimed to have their students acquire values and attitudes, basic movement and sports skills, and emotional stability through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In terms of teaching form and evaluation method, novice teachers used solo teaching and direct evaluation, while experienced teachers used external instructor-led/specialist-assisted form and direct evaluation as well as external instructor evaluation, and most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willing to operate physical education in the future. Lastly, the reasons for not operating physical education were heavy workload, lack of operating budget, and difficulty of cooperation among members. Second, in order to operate physical education, the needs of providing sufficient space, facilities, and equipment, cooperation among school and community members, and training opportunities were high,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roviding training opportunities, offering follow-up services for students and establishing a local cooperation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교사발달단계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설계 분석: 압력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차시
-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라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 영어과 예비교사의 세계문화 교수역량 배양에 관한 사례연구
- 뉴웰의 제한요소를 적용한 체육수업 변형게임 만들기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소외지역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에듀테크 지원 방안 탐색 : 교육기부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진로 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교육정책 분석
- 중국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관련 연구 동향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분석
-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로 조절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부모의 긍,부정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대화시간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 중학생 집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무상보육 정책 시행(2012)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