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탐색
이용수 197
- 영문명
- Exploring Policy Trends and Implications for Supporting Chinese Teachers’ AI and Digital Competencie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수진 김상철 주영효 김희규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3권 제2호, 429~45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AI·디지털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과 AI·디지털 역량 제고와 관련한 사례 분석을 통해 우리의 AI·디지털 역량 제고에 제공 가능한 시사점을탐색하고자 한다. 먼저 중국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추진 배경과 중국의AI·디지털 역량에 관한 개념적 정의를 살펴보고, 중국의 AI·디지털 역량 유형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중국 학교 현장의 교수(teaching) 상황에서나타난 중국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관련 지원 및 활용 실제를 살펴보고, 교원의 AI· 디지털 역량 지원을 위한 중국의 교육 정책을 탐색하였다. 이러한 탐색은 중국의 교육부 발표자료, 중국 학술지, 중국 웹사이트, 중국 언론 등 중국어 원문으로 발간된문헌을 바탕으로 심도 있게 접근 및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의 AI·디지털 역량교육이 한국에 시사하는 바와 향후 한국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이 나아가야 할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정부와 민간의 역량을 결집한 교원양성 모델을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수학습 과정에서 AI·디지털 자원이 충분히 활용되도록해야 한다. 셋째, 예비교원의 교육 강화 및 현직교원의 연수를 확대하여 추진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our AI and digital competencies by analyzing policies to enhance AI and digital competencies in China and case studies related to AI and digital competencies. First, the background of policy promotion related to China's AI and digital competencies and the conceptual definition of China's AI and digital competencies were examined, and the types of AI and digital competencies in China were specifically explored. Based on this, we looked at the actual support and use of Chinese teachers' AI and digital competencies in the current teaching situation in Chinese schools, and explored Chinese education policies to support teachers' AI and digital competencies. This search was in-depth approach and analysis based on literature published in the original Chinese language, such as announcements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China, Chinese academic journals, Chinese websites, and Chinese media. Through this, the implications of China's AI/digital competency training for Korea and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s AI/digital competency support policy we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eacher training model that combines the capacities of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Second, AI and digital resources must be fully utiliz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duc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and expand the training of incumbent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중국의 AI·디지털 역량에 관한 개념적
정의
2. 중국의 AI·디지털 역량 유형
3. 중국의 AI·디지털 역량 관련 정책 추진
배경
Ⅲ.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을 위한
중국의 교육 정책
1.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2. 중국의 AI·디지털 정책 특징 및 성공
요인
Ⅳ. 중국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교육
운영의 실제
1. 교육과정 운영 사례
2. 교수학습 운영 사례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설계 분석: 압력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차시
-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라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 영어과 예비교사의 세계문화 교수역량 배양에 관한 사례연구
- 뉴웰의 제한요소를 적용한 체육수업 변형게임 만들기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소외지역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에듀테크 지원 방안 탐색 : 교육기부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진로 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교육정책 분석
- 중국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관련 연구 동향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분석
-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로 조절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부모의 긍,부정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대화시간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 중학생 집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무상보육 정책 시행(2012)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