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무상보육 정책 시행(2012)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이용수 82
-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Infant-Teacher Interaction’ : Focusing on domestic journal articles after free childcare policy implementation (2012)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김보영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3권 제2호, 269~28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영아- 교사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동향을 포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적으로 무상보육 및 3차 표준보육과정이실행된 직후인 2013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총 93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 시기별 대상별, 방법별, 내용별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첫째, ‘영아- 교사 상호작용’ 관련 연구는 2013년 이후 꾸준히 다양한 학술지에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은 만2세 영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특성을 보였다. 셋째 연구 방법은 전반적으로 양적 연구에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 연구가 절반을 넘어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넷째, 연구내용에 있어서 교사와 연관된 변인으로, 교사 개인 및 직무 관련 내용의 연구가 압도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면 ‘영아- 교사 상호작용’ 에 대한 연구는 교사 중심의 내용 외에 영아-교사 양방향성을 고려한 다양한 측면의 내용을 포함한 연구 활성화가 요구된다. 또한, 질적 연구접근을 통해 인적변인들의 심층적이고 내적인탐색을 위한 연구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garding 'Infant-Teacher Interaction'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in order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activation of research on infant-teacher interaction. To achieve this, a total of 93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2013 to 2022,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free infant care,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analysis. The study analyzed trends based on the periods of research, target subjects, methods employed, and conten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related to 'Infant-Teacher Interaction' has been consistently published in various academic journals, with the exception of 2017. Second, the research subjects predominantly focused on infants aged 2 years and younger. Third,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survey research utilizing questionnaires held a prominent position, surpassing the majority of quantitative studies. Fourth, concerning the content of the research, studies related to teachers, individual factors, and teacher leadership overwhelmingly dominated. Based on these research outcomes, future research directions can be proposed. Research on 'Infant-Teacher Interaction' should not only focus on teacher-related variables but also explore various ecological aspects, including infant and parent-related factors. Additionally,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is recommended to actively delve into the profound and internal explorations of human variables.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연구 방법
2. 연구 결과
Ⅲ.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설계 분석: 압력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차시
-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라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 영어과 예비교사의 세계문화 교수역량 배양에 관한 사례연구
- 뉴웰의 제한요소를 적용한 체육수업 변형게임 만들기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소외지역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에듀테크 지원 방안 탐색 : 교육기부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진로 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교육정책 분석
- 중국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관련 연구 동향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분석
-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로 조절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부모의 긍,부정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대화시간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 중학생 집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무상보육 정책 시행(2012)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