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교육정책 분석
이용수 257
- 영문명
-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Using Multi-Dimensional Policy Analysis Model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영신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3권 제2호, 457~48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다문화교육정책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정책 방향을 탐색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교육부의 다문화교육 지원계획을 주요 분석대상으로 삼고 문헌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규범적 차원은 다양성의 이해와 조화를 강조하는 정책 가치를 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적 차원은다문화교육정책을 기획·운영·관리하는 정부 및 관련 부처와 지역 다문화교육지원센터등의 조직 구조와 지원 체제를 분석하였다. 구성적 차원으로 교원, 학생, 학부모의 참여와 저항 태도와 정책을 운영하기 위한 교육과정, 교원 연수 및 교육, 예산 등 제도적 기반을 기술적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분위기 조성,지역중심의 지원 체계 전환, 인력 및 행·재정적 지원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direction in which policies should proce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using a multi-dimensional policy analysis model. To this e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plan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from 2006 to 2023 was analyzed and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at the normative level, it contained policy values that emphasized the understanding and harmony of diversity and guarantee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The structural level analyzed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support system of the government, related ministries, and local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hat plan, operate, and manage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At the compositional level, we looked at the participation and resistance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who are school members to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The technical level analyzed the institutional basis such as curriculum, teacher training and education, and budget for operating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교육정책
2.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
3.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방법
1. 연구의 분석틀
2. 분석 대상
Ⅳ. 연구 결과
1. 규범적 차원
2. 구조적 차원
3. 구성적 차원
4. 기술적 차원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설계 분석: 압력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차시
-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라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 영어과 예비교사의 세계문화 교수역량 배양에 관한 사례연구
- 뉴웰의 제한요소를 적용한 체육수업 변형게임 만들기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소외지역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에듀테크 지원 방안 탐색 : 교육기부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진로 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교육정책 분석
- 중국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관련 연구 동향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분석
-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로 조절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부모의 긍,부정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대화시간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 중학생 집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무상보육 정책 시행(2012)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