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의 진로 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116
- 영문명
- Analysis of the Effect of Adolescent's Career Decision on the Quality of Life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이윤희 김은영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3권 제2호, 487~50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진로 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2차년도(중2)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고, 경향점수매칭 분석을 실시하여 진로 결정에 따른 집단 간의 선택편의문제를 해결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2학년 시기에 진로를 결정한 청소년들의 삶의질 수준이 진로를 결정하지 않은 청소년들과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들 삶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학교생활을 통해진로탐색과 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econd year(2019)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were used.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to solve the problem of existing selections bias between the groups who decided career and the group who did not.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ho decided on a career in the second year of middle schoo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Even after achieving equival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rough propensity score matching, in all factors of quality of life, the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ho decided on a career remained at a higher level. This study suggested policy implications for importance of adolescent’s career decision. In schools it is necessary to support adolescent’s career education for career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청소년의 진로 결정
2. 청소년의 삶의 질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변인 설명
3. 분석 방법
Ⅳ. 분석 결과
1. 청소년의 진로 결정에 따른 삶의 질 수준 비교
2.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한 경향점수 추정
3. 경향점수 매칭 이후 진로 결정에 따른 집단 특성 비교 결과
4. 경향점수 매칭 이후 청소년의 진로 결정에 따른 삶의 질 수준 비교
Ⅴ. 요약 및 결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설계 분석: 압력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차시
-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라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 영어과 예비교사의 세계문화 교수역량 배양에 관한 사례연구
- 뉴웰의 제한요소를 적용한 체육수업 변형게임 만들기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소외지역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에듀테크 지원 방안 탐색 : 교육기부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진로 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교육정책 분석
- 중국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관련 연구 동향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분석
-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로 조절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부모의 긍,부정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대화시간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 중학생 집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무상보육 정책 시행(2012)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