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103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Mathematics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between Korea and Ontario, Canada: Focusing on Data and Possibility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고정화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3권 제2호, 213~23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20년에 개정된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수학과 교육과정과 2022년에 개정된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중 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두 교육과정의 내용 편성, 도입 시기, 내용 요소 등을 중심으로 비교하였으며, 교과서에서 관련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온타리오주 교육과정은 우리나라에 비해 자료와 가능성 영역이 차지하는 분량과 비중이 상당히 높고, 조기부터 다양한 내용을 다루며, 학년이 올라가면서 학습 내용을 반복․확장하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은 차후 자료와 가능성 영역에 대한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정 및 교과서 집필에 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data and possibility among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Ontario, Canada, revised in 2020 and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Korea revised in 2022. To this end, the contents of the two curricula were compared focusing on the organization, timing of introduction, and content elements, and how the related contents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Ontario curriculum has a significantly higher volume and proportion of data and possibility than Korea, deals with various contents from an early stage, and repeats and expands learning contents as the grade goes up. This analysis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revising the Korean curriculum and writing textbooks for future data and possibility.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내용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1. 교육과정 비교 분석
2. 교과서 비교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설계 분석: 압력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차시
-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라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 영어과 예비교사의 세계문화 교수역량 배양에 관한 사례연구
- 뉴웰의 제한요소를 적용한 체육수업 변형게임 만들기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소외지역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에듀테크 지원 방안 탐색 : 교육기부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진로 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교육정책 분석
- 중국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관련 연구 동향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분석
-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로 조절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부모의 긍,부정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대화시간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 중학생 집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무상보육 정책 시행(2012)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