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긍,부정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대화시간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 중학생 집단에 따른 다집단 분석
이용수 183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Conversation Time Between Positive &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Children's Happiness: Multi-group Analysi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류신혜 박수아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3권 제2호, 289~31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부모의 대화시간을 매개로 하여 행복감에 미치는매개효과와 초등학교, 중학교 집단별 차이의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2018의 3차연도(2020) 자료를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경우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전반적으로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중학생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중 자율성 지지가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중학생은 부모의 긍정적양육태도 중 따스함과 구조제공이 부모의 대화시간을 매개하여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연령 공통으로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중 거부는 부모의 대화시간을 부적으로 매개하여 행복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비일관성은 직접적, 혹은 대화시간을 부적으로 매개하여 행복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경우 부모의 대화시간 양보다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자체가 자녀의행복감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고, 중학생의 경우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따스함, 구조제공)가 부모의 대화시간을 매개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자녀의 연령을 고려한 부모교육의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their children’s happiness through conversation time with parents an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uch effects. To this end, the response data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collected in the third year (2020)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s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tructural equations and M-plu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significantly affected happiness overall. In addition,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support for autonomy among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positively affected happiness. Second, in the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warmth and structural provision among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positively affected happiness by mediating conversation time with parents. Third, the mediating path of conversation time was not significant for autonomy support and coercion in common for all ages. Fourth, rejection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in all ages negatively affected happiness by negatively mediating conversation time. Also, the inconsistency negatively affected happiness by negatively mediating conversation time.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 of a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happiness rather than the amount of conversation time with parents. Moreover, it proved that a positive parenting attitude (warmness, structure provis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positively affects happiness by mediating conversation time. These results are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y provided evidence for the necessity of parental education considering the age of children.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문제와 연구모형
Ⅱ. 이론적 배경
1. 행복의 개념
2. 아동 청소년의 행복감
3. 부모의 양육태도
4, 부모의 양육태도와 행복감
5. 부모와의 대화시간과 행복감의 관계
Ⅲ.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도구
3. 분석 방법
IV. 연구 결과
1. 기술 통계
2.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 대화시간,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3.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대화시간,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설계 분석: 압력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차시
-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라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 영어과 예비교사의 세계문화 교수역량 배양에 관한 사례연구
- 뉴웰의 제한요소를 적용한 체육수업 변형게임 만들기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소외지역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에듀테크 지원 방안 탐색 : 교육기부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진로 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교육정책 분석
- 중국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관련 연구 동향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분석
-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로 조절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부모의 긍,부정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대화시간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 중학생 집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무상보육 정책 시행(2012)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