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관련 연구 동향
이용수 365
- 영문명
- Research Trends of the Young Child Digital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유정인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3권 제2호, 401~4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관련 연구들을 수집하고 핵심 키워드와 키워드들간의 연결을 분석하여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방법으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술데이터베이스(RISS, KCI, KISS)에서 유아 디지털, 미디어, 스마트, 멀티미디어, 에듀테크 등의 주제어로 검색한 후 수집한 학술 논문 661편에서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키워드를 정제한 후 키워드의 출현 빈도 분석과 네트워크 시각화 분석, 중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 디지털 관련 연구들은 2011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었으며, ‘활용’, ‘유아’, ‘미디어’, ‘인식’, ‘유아교사’, ‘디지털’ 등이주요 키워드로 나타났다. 둘째, 시기별로 이루어진 연구물들의 흐름을 살펴본 결과,디지털 전환에 따른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멀티미디어’, ‘스마트’, ‘디지털’, ‘활용’에 주목하여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최근에는 ‘디지털’과 ‘놀이’, ‘역량’ 등이핵심 키워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 사회를 살아갈 교사와 유아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측면에 대한 고려와 후속 연구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rends in research related to digital aspec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collecting relevant research and conducting keyword network analysis to understand the evolving connections among key terms. The goal was to identify any changes or emerging patterns in research on digital technology and young children. The goal was to identify any emerging patterns or changes in the field of research on young children and digital technology. To achieve this, a total of 661 academic papers were collected from scholarly databases (RISS, KCI, KISS) by searching for keywords such as 'young children digital', 'media', 'smart', 'multimedia', and 'edutech'.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se papers after refinement. The analysis included frequency distribution, network visualization, and centrality analysis of the extracted keyword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firstly, that studies related to digital technology and young children have shown a consistent increase in trends since 2011. Key keywords such as 'utilization,' 'young children,' 'media,' 'perception,'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digital' emerged as prominent in this research. Secondly, an examination of the research trends over different time periods revealed that studies have increasingly focused on the 'utilization' of 'multimedia', 'smart', and 'digital' technologies, driven by shifts in educational paradigms due to digital transformation. Recently, 'digital', 'play', 'competence' have emerged as central keywords. The outcome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sights for educators and children navigating the digital society, aiding in various aspects of support and guid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설계 분석: 압력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차시
-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라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 영어과 예비교사의 세계문화 교수역량 배양에 관한 사례연구
- 뉴웰의 제한요소를 적용한 체육수업 변형게임 만들기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소외지역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에듀테크 지원 방안 탐색 : 교육기부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진로 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교육정책 분석
- 중국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관련 연구 동향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분석
-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로 조절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부모의 긍,부정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대화시간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 중학생 집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무상보육 정책 시행(2012)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