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188
- 영문명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eacher 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곽영숙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3권 제2호, 235~268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Bandura(2006)의 교사 자기 효능감 척도(TSES)를 번안하고 국내유아교육의 맥락적 적합성을 고려하여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예비조사에서는 문헌분석과 번역-역번역,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의 구성개념 및 문항을 탐색하였으며, 예비조사 결과 6개 구성개념, 28개 문항의 예비시안이 개발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의 척도양호도를 검증하기 위해 유아교사 305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는 6개 구성개념, 28개 문항으로 개발되었으며, Cronbach’s α 계수는 .96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는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측정하는데 적절한 척도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Korean version of the teacher self-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by adapting Bandura's (2006) teacher self-efficacy scale (TSES) and considering the contextual suitabi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In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constructs and question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teacher 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explor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translation-back-translation, an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a preliminary draft of 6 constructs and 28 questions was developed. In main surve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305 early childhood teachers to verify the scale goodnes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teacher 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orean version of the teacher 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eveloped with 6 constructs and 28 questions, and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found to be .96. Therefore, the Korean version of the teacher efficacy scale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n appropriate scale for measuring the teacher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관련 해외
선행연구
2.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관련 국내
선행연구
3.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처리 및 분석
Ⅳ. 연구결과
1.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의
구성개념 및 문항 탐색
2.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의
타당화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설계 분석: 압력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차시
-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라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 영어과 예비교사의 세계문화 교수역량 배양에 관한 사례연구
- 뉴웰의 제한요소를 적용한 체육수업 변형게임 만들기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소외지역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에듀테크 지원 방안 탐색 : 교육기부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진로 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교육정책 분석
- 중국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관련 연구 동향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분석
-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로 조절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부모의 긍,부정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대화시간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 중학생 집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무상보육 정책 시행(2012)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