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이용수 158
- 영문명
-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
- 발행기관
-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 저자명
- 서혜진 곽아진 이은지 정유진 김준성
- 간행물 정보
- 『교육발전』제43권 제2호, 311~32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있다. 이에 ‘자살 예방’, ‘자살 프로그램’,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키워드로 삼아 키워드로 2023년 6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지 36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총 54개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 크기는 0.96였으며,주요 변인인 우울 1.04, 자살사고 0.88로 각각 높은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또한, 미기입을 제외한 조절 효과를 살펴보면 성별은 여성, 대상은 청소년, 개입내용은 인지행동, 총회기 수는 10회 이하, 운영 기간은 4주 이하, 회기당 시간은 91분 이상, 주당 횟수는 3회 이상, 집단크기는 11∼20명이 가장 높은 효과 크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 예방 프로그램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확인하며,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으로 본 연구는 자살 예방 프로그램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 그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자살 예방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진행할 때 근거가 될 수 있는 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using meta-analysis. Accordingly, 36 journals published in Korea by June 2023 were selected using 'suicide prevention,' 'suicide program,' and 'suicide prevention program' as keywords, and a total of 54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As a resul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 was 0.96, and the main variables, depression 1.04 and suicide accident 0.88 were high, respectively. In addition, gender, youth, intervention content, cognitive behavior, general meeting period less than 10 weeks, session time more than 91 minutes, weekly more than three times, and group size 11-20 people were examined. These results quantitatively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nd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program development and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this study is meaningful by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suicide prevention programs, and will be provided as basic data for organizing and proceeding with suicide prevention program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 절차
3.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설계 분석: 압력에 따른 기체의 부피 변화 차시
-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에 따라 성인애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 영어과 예비교사의 세계문화 교수역량 배양에 관한 사례연구
- 뉴웰의 제한요소를 적용한 체육수업 변형게임 만들기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 연구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또래애착과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내현적 자기애의 매개효과
-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중등 특수교사의 체육교과 운영 경험 및 지원 요구 분석
- 소외지역 교육 양극화 해소를 위한 에듀테크 지원 방안 탐색 : 교육기부를 중심으로
- 청소년의 진로 결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차원 정책 분석 모형을 적용한 다문화교육정책 분석
- 중국 교원의 AI·디지털 역량 지원 정책 동향 및 시사점 탐색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유아교육에서의 디지털 관련 연구 동향
-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GOLDEN 성격유형의 네트워크 분석
- 유아교사의 잡 크래프팅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로 조절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자살 예방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부모의 긍,부정 양육태도와 자녀의 행복감의 관계에서 부모와의 대화시간의 매개효과 : 초등학생, 중학생 집단에 따른 다집단 분석
-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무상보육 정책 시행(2012) 이후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 한국판 유아교사용 교사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우리나라와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자료와 가능성 영역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