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토리텔링 기반 이러닝 콘텐츠의 컨셉 설계 모형 프로토타입 개발
이용수 3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Prototype of Concept Design Model of E-Learning Contents Based on Storytelling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박은희 강문숙 김나리 박수홍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9권 제2호, 195~21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러닝 콘텐츠에 지식 탄생의 역사적 맥락을 알 수 있는 스토리를 담아 학습자의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고 동기유발을 할 수 있는 스토리텔링 기반 이러닝 콘텐츠의 컨셉 설계 모형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 및 설계에 관한 문헌과 관련 업체의 사례를 분석하고, 모형의 프로세스 및 핵심요소와 설계 전략을 도출하여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컨셉 설계 모형의 프로토타입에 대한 가치와 개선점을 도출 후, 프로토타입을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프로토타입의 프로세스는 분석, 구상, 구체화 단계로 도출되었다. 분석 단계의 핵심지원요소 및 설계전략은 학습자 분석, 학습내용 가치 도출, 환경 분석으로 분류되었으며 학습자 특성과 학습내용의 핵심 가치를 파악하고 학습환경 제반을 분석한다. 구상단계에서는 자료 탐색, 지식 탄생 스토리 규명, 스토리의 인과관계 도출로 학습자가 학습 내용에 풍부한 의미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화 단계에서는 학습자와 관련된 스토리로 각색, 상호작용 설계, 컨셉 정리를 통해 기존과 차별화된 학습내용이 자연스럽게 녹아든 핵심 컨셉을 설정할 수 있다. 추후 컨셉 설계 모형을 활용해 실제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여 효과성 검증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of a prtotype of conce design model of e-learning contents based on storytelling to induce learners' motivation and stimulate their intellectual curiosity.
To achiev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tasks is as follows.
First, to derive the design processes of e-Learning contents based on storytelling. Second, to derive the key supporting components of e-Learning contents based on storytelling. Third, to derive the design strategies of the key supporting components were identified of e-Learning contents based on storytelling.
The method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ocuments and case of existing e-learning contents based on storytelling and e-learning contents developers. Based on of the analysis data, the derived prototype was revised and complemented by focus group interview.
As result of this interview, the key supporting components and design strategies of each design processes constituted with analysis, conception and shape were organized.
Through this study which is proposed and story on genesis of knowledge, It is expected that learner would become the producer from the consumer of knowledg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티카페 문제해결 전략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 과정과 산출물 분석
- 브레인스토밍 유형이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기초적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
-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 행복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 동아시아 문화유산이 창의성과 상상력에 대한 역할에 관한 성찰 - 한국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블렌디드 학습모형 개발
- 스토리텔링 기반 이러닝 콘텐츠의 컨셉 설계 모형 프로토타입 개발
- 영역 일반성 대 영역 한정성 논의와 그 교육적 함의
-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among Design Students: A Case Study of Hong Kong
-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사고력 교육의 원칙 및 제한점
-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