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역 일반성 대 영역 한정성 논의와 그 교육적 함의
이용수 0
- 영문명
- The Debates over Domain-Generality versus Domain-Specificity and Its Implication for Education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왕경수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9권 제2호, 219~24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영역 일반성 대 영역 한정성(domain generality versus domain specificity; DG vs. DS)의 개념을 이론적으로 명확히 하면서 DG-DS 논쟁의 중요한 주제 ‘전문성(expertise)’과 ‘인간 발달’의 성격을 요약하고 논의한다(Frensch & Buchner, 1999). 그리고 영역 한정적인 지식이나 전략과 내용 지식이 어떻게 인간 학습이나 수행에 상호 작용하는지를 고찰한다. 또, 직간접적으로 영역 한정적 그리고 전략적 지식의 상호작용에 관련된 연구를 종합하면서 교수 학습 과정이나 방법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 절차나 방법론이라는 관점에서 기존 연구들의 제한점을 지적하였으며 연구의 종합과 문헌 비판으로부터 얻어진 지식에 기초하여 미래 연구에 대한 방향 제시를 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sought to achieve three purposes.
First, it tried to clarify the conceptual differences of domain specificity and domain generality. Secondly, it did to provide an informative synthesis of the research that has addresse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and human development in terms of domain generality vs. domain specificity and the interaction of domain-specific and strategic knowledge, Thirdly, building upon the knowledge gained from the synthesis and critique of the literature, the author wished to offer guidelines that might direct future research efforts. considering the powerful influence research in domain-specific and strategic knowledge has separately exerted upon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it seems imperative to bring these bodies of research together. Indeed, the author heartily agree with Sternberg's(1985) assertion that the time has come "to consider the ways in which knowledge and process interact". To continue to pursue a singular course in our attempts to understand academic learning may prove costly or ill advis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티카페 문제해결 전략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 과정과 산출물 분석
- 브레인스토밍 유형이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기초적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
-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 행복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 동아시아 문화유산이 창의성과 상상력에 대한 역할에 관한 성찰 - 한국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블렌디드 학습모형 개발
- 스토리텔링 기반 이러닝 콘텐츠의 컨셉 설계 모형 프로토타입 개발
- 영역 일반성 대 영역 한정성 논의와 그 교육적 함의
-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among Design Students: A Case Study of Hong Kong
-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사고력 교육의 원칙 및 제한점
-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