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초적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
이용수 10
- 영문명
- A Study of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Developing Basic Thinking Skills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양용칠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9권 제2호, 23~4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기초적 사고 기능을 효과적으로 가르칠 조건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기초적 사고 기능은 김영채(2013)가 분류한 관찰, 추론, 분석, 비교와 평가로 선정되었다. 이들을 개발하기 위한 수업 조건은 사고의 내용, 학습자, 학습환경, 그리고 수업활동 제한점의 특성을 중심으로 정리되었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개발된 모든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을 포괄하지 못하고, 더 많은 기초적 사고 기능을 다루지 못한 한계점을 갖고 있다. 그렇지만 이 논문은 사고력의 개발을 위해서 기초적 기능부터 바르게 사고하도록 가르칠 전략과 각사고 기능의 습득에 필요한 수업 조건의 연구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발달적 사고 기능(개념, 설명, 예측과 가설), 그리고 복합적 사고 전략(문제해결, 의사결정, 비판적 및 창의적 사고)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에 관한 연구가 계속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여기서 제시한 기초적 사고 기능을 가르치기 위한 조건을 실제 수업에 적용해서 그것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도 이뤄질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structional conditions to effectively teach basic thinking skills to learners. The basic thinking skills to be reviewed in the study were observation, inference, analysis, comparison, and evaluation. The instructional conditions were explor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what is to be learned, the learner,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instructional development constraints by each thinking skill. This study has constraints which have not covered overall condi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for most of basic thinking skills.
However, it seems that the study can suggest ideas and directions for investigations of instructional conditions and strategies for further studies on developing learners' basic thinking skills. Based upon the study, instructional conditions for developmental thinking skills(concept formation, explanation, prediction, and hypothesis formation), and complex thinking strategies(problem solving, decision making, critical thinking and creative
thinking) can be further explored.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on instructional conditions explored in this study and on effects of their applications in the classroom can be conduct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티카페 문제해결 전략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 과정과 산출물 분석
- 브레인스토밍 유형이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기초적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
-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 행복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 동아시아 문화유산이 창의성과 상상력에 대한 역할에 관한 성찰 - 한국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블렌디드 학습모형 개발
- 스토리텔링 기반 이러닝 콘텐츠의 컨셉 설계 모형 프로토타입 개발
- 영역 일반성 대 영역 한정성 논의와 그 교육적 함의
-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among Design Students: A Case Study of Hong Kong
-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사고력 교육의 원칙 및 제한점
-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