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flection on East Asian Cultural Legacy in its Function on Imagination and Creativity with Focus on Korean Culture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곽병선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9권 제2호, 161~17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시험에는 강하나 창의성엔 약하다는 것은 동아시아 문화유산을 가진 지역의 자조적인 현상이다. 20세기까지 서구는 종교개혁, 계몽운동, 과학혁명, 프랑스혁명, 산업화 등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변모해온데 비해서 타 지역은 낙후되어 왔다. 창의성과 상상력은 어떤 도전자라도 경계선을 넘어서는 것을 허용하는 문화적 상황이나 풍토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야에서 이 논문은 동아시아인의 인식에 크게 영향을 미친 동아시아 문화의 두드러진 특징이 창의성과 상상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탐색하였다.
천년이상 나라 관료를 과거시험으로 선발해온 관행을 통해 유학은 체제이데올로기가 되고, 학습은 성현들의 고전을 암송하는 체질을 만들었다. 이러한 관행은 학습을 시험에서 정답을 많이 내도록하는 정답주의 교육을 조장하였다. 한국에서 창의성과 상상력을 촉진하기 위해선 학생들이 자유인으로서 자신들의 생각을 마음대로 펼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과감한 문화적 환경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Strong in tests but weak in creativity is self-lamentable phenomena in the region inherited East Asian cultural legacy. It is undeniable fact that until the 20th century the world has been led by western civilization through the continuous transformation such as Reformation, enlightenment movement, scientific revolution, French revolution, industrialization, etc while the rest of the world had lagged behind.
Creativity and imagination need cultural context or climate which allows any challengers in society to go beyond boundaries. In this connection, this paper is made to investigate salient traits of the Eastern Asian culture
which has functioned to shape the consciousness of people in the region.
Under the influence of state run selection system for national bureaucrats in Confucius doctrine over one thousand years, there were a cultural legacy formed that learning had tended to be recitation of the words of great
sages. In this connection, even today schooling in Korea is conducted in a way that students are prepared to provide correct answers as much as possible in achievement tests. In order for creativity and imagination to be
facilitated Korean school has to adopt aggressive measure to change conventional test oriented schooling toward open climate where students can exercise diversified experiences as free being.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티카페 문제해결 전략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 과정과 산출물 분석
- 브레인스토밍 유형이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기초적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
-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 행복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 동아시아 문화유산이 창의성과 상상력에 대한 역할에 관한 성찰 - 한국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블렌디드 학습모형 개발
- 스토리텔링 기반 이러닝 콘텐츠의 컨셉 설계 모형 프로토타입 개발
- 영역 일반성 대 영역 한정성 논의와 그 교육적 함의
-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among Design Students: A Case Study of Hong Kong
-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사고력 교육의 원칙 및 제한점
-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