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브레인스토밍 유형이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17
- 영문명
- The Effects of Brainstorming Types on Group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홍기칠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9권 제2호, 175~19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 브레인스토밍, 집단 브레인스토밍, 그리고 집단 브레인라이팅 유형이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집단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36명과 대학교 4학년 29명을 세 가지 유형의 브레인스토밍 집단에 각각 무선배치하고 브레인스토밍 문제 두 가지에 대한 해결 아이디어를 산출하게 하였다. 생성된 아이디어 수를 집단창의성 점수로 하여 변량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경우 개별 브레인스토밍이 집단 브레인스토밍보다 집단창의성에 더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집단 브레인라이팅의 집단창의성 평균점수는 개별 브레인스토밍보다는 낮고 집단 브레인스토밍 보다는 높았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의 경우 개별 브레인스토밍이 집단 브레인스토밍이나 집단 브레인라이팅보다 집단창의성에 더 효과적이었다. 그리고 집단 브레인라이팅이 집단 브레인스토밍보다 집단창의성에 더 효과적이었다. 즉, 개별 브레인스토밍, 집단 브레인라이팅, 집단 브레인스토밍 순으로 집단창의성에 더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효과차이는 집단 브레인스토밍의 과정손실과 연령요인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brainstorming, such as individual brainstorming, group brainstorming, and group brain-writing, on group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purpose, thirty 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wenty nine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brainstorming groups (individual brainstorming, group brainstorming, and group brain-writing) at random sampling. Each group students produced creative ideas(group creativity) on solving two brainstorming problems. The collected data of the creative ideas produced by th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one 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gard to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individual brainstorming was more effective for the group creativity rather than the group brainstorming. But the effect of the group brain-writing did not show much statistic difference from the effect of individual or group brainstorming for the group creativity.
Second, in regard to the college students, the individual brainstorming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the group creativity, then the group brain-writing was more effective than the group brainstorming for the
group creativity.
The results showed that process losses of group brainstorming and age factors affected the above difference in effec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티카페 문제해결 전략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 과정과 산출물 분석
- 브레인스토밍 유형이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기초적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
-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 행복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 동아시아 문화유산이 창의성과 상상력에 대한 역할에 관한 성찰 - 한국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블렌디드 학습모형 개발
- 스토리텔링 기반 이러닝 콘텐츠의 컨셉 설계 모형 프로토타입 개발
- 영역 일반성 대 영역 한정성 논의와 그 교육적 함의
-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among Design Students: A Case Study of Hong Kong
-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사고력 교육의 원칙 및 제한점
-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