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블렌디드 학습모형 개발
이용수 14
- 영문명
- A Development of Blended Learning Model for Social Studies by Digital Textbook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홍광표 최창환 박수홍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9권 제2호, 249~277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블렌디드 학습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 사례, 현장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한 요구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모형의 핵심가치, 내용, 프로세스, 지원요소가 포함된 초안을 구안하고, 이를 현장전문가, 내용전문가 등으로부터 검토 받았다. 이렇게 수정된 모형은 다시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 개발물을 도출하게 되었다. 모형의 핵심 가치는 ‘문제해결력과 의사결정력의 동반 성장을 통한 민주시민의 양성’, 핵심 내용으로 사회과는 ‘현실 사회 문제 이해하기’, ‘사회 문제에 대한 창의적 대안을 탐색하기’, ‘합리적인 의사결정하기’이며, 디지털교과서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용 도구’, ‘학습자 학습활동의 지원과 촉진’, ‘국가수준교육과정 및 서책교과서 내용 중심’, ‘학교와 가정의 동시학습 진행’,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 핵심프로세스는 ‘문제상황 인식 및 명료화’, ‘가능한 해결안 탐색 및 의견 공유’, ‘해결안의 적용 및 문제 탐색’, ‘결론 및 일반화’, ‘사후학습’의 순서로 정리되었으며 지원요소로서 매뉴얼북은 ‘관련정보’ 와 ‘도구’를 담도록 개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하여 사회과 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을 것이며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이 신장될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본 모형의 타당화를 위한 효과성 지표의 개발과 디지털교과서가 구동되는 다양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연구도 향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blended learning model for social studies by the digital textbook. For the object of this study, we reviewed related literatures and cases about digital textbooks, social studies and blended learning. Based on the literature and case study, we made the core value, core learning process, performance support system of the 1st model(prototype). And we have checked the 1st model by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SMEs. Then, we made the final version model by the implementing the 2nd model to the elementary student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many students will be able to learn more effectively, efficiently, and attracted to the subject in the social studies . And their competence of self directed learning will be enhanced. On the other hand, for the follow up studies, we suggest that we have to make the measures of effectiveness of the learning model.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티카페 문제해결 전략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 과정과 산출물 분석
- 브레인스토밍 유형이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기초적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
-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 행복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 동아시아 문화유산이 창의성과 상상력에 대한 역할에 관한 성찰 - 한국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블렌디드 학습모형 개발
- 스토리텔링 기반 이러닝 콘텐츠의 컨셉 설계 모형 프로토타입 개발
- 영역 일반성 대 영역 한정성 논의와 그 교육적 함의
-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among Design Students: A Case Study of Hong Kong
-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사고력 교육의 원칙 및 제한점
-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