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이용수 25
- 영문명
- Inquiry of Teaching-Learning Model nurturing Student Creativity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조연순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9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에서 학생들의 창의성 교육을 위해서는 새로운 시각으로 창의성을 개념화해야 할 필요성 제시와 함께 ‘학생 창의성’을 “학습의 내면화와 외현화 과정 속에서 발현되는 학생에게 의미 있고 새로운 발견 및 해석, 또는 새로운 상황에의 적용이나 산출물의 생성”이라고 개념화하였다. 즉 창의성 이론에서 지금까지 외현화 과정에만 관심을 두어왔는데, 학교교육에서는 지식의 내면화 과정 속에서 발현되는 창의성에 더욱 관심을 두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학생 창의성’ 개념에 기반하여 일반 교실수업의 과정에서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내면화와 외현화의 과정, 그리고 그 안에서 수업의 시작과 전개, 마무리의 3단계로 나누어서 설명하였다. 수업의 시작 단계에서는 학생들에게 친숙한 자료를 다양한 형태로 제시하여 관찰하게 하면서, 상상과 추론 등의 사고를 촉진하는 발문을 통해 학습할 주제를 학생들이 발견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개 과정에서는 새로운 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고 은유와 추론, 관찰을 통한 비교와 분석을 유도하여 학생들이 새로운 지식을 내면화 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무리 부분에서는 새로운 상황을 제시하여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산출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지식의 외현화와 함께 확산적 비판적, 종합적 사고를 촉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 모든 단계에서 1) 실생활 맥락, 2)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 3) 허용적 분위기, 4) 교사-학생, 학생-학생 간 상호작용, 5)긍정적인 피드백을 공통적으로 중요한 요소로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help students' creativity emerg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oncept of creativity different from Big-C. Through the review of related theories, it is found that the creativity researchers have payed attention to the externalization only. However, we have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creativity emerges in the internalization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refore, 'student creativity' is defined as "a new discovery or interpretation which is meaningful to a student in the process of internalization and an application (or a production) to a new situation in the process of externalization of learning". Based on the above concept, a teaching-learning model nurturing student creativity is suggested as the following: In the beginning stage, the teacher provides familiar materials in various forms and lets students to discover the theme or topic of the lesson by imagining and/or inferring. In the developing stage, the teacher provides opportunities to explore a new knowledge and lets students to internalize the knowledge by metaphoric thinking and/or inferring. In the closing stage, the teacher provides a new situation(s) and lets students to solve a problem(s) and/or produce a new product(s) by applying the internalized knowledge. Also,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as supporting factors in all of the three stages: 1) real life contexts, 2) interests and curiosity of students, 3) permissive atmosphere, 4)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tudents and student-student, 5) positive feedback.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티카페 문제해결 전략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 과정과 산출물 분석
- 브레인스토밍 유형이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기초적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
-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 행복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 동아시아 문화유산이 창의성과 상상력에 대한 역할에 관한 성찰 - 한국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블렌디드 학습모형 개발
- 스토리텔링 기반 이러닝 콘텐츠의 컨셉 설계 모형 프로토타입 개발
- 영역 일반성 대 영역 한정성 논의와 그 교육적 함의
-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among Design Students: A Case Study of Hong Kong
-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사고력 교육의 원칙 및 제한점
-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교육논총 제39집 목차
- 재한 중국 유학생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학생의 심리적 독립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진로정체감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