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행복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이용수 31
- 영문명
- The Character Education as a Future Human Resource Development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도승이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9권 제2호, 143~15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부작용 극복과 미래사회 인재 양성을 위해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먼저, 인성의 다양한 개념들을 소개하고 현대사회에 맞게 인성의 개념이 어떻게 발달하였는지를 설명하고 선진국에서 실시하는 인성교육의 실태를 소개하였다. 인성교육을 학교폭력 등 현대사회의 부작용을 해결하는 측면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 사회적 자본의 확충과 미래 인재의 양성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현대 한국사회에 적절한 인성의 구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지은림, 도승이, 이윤선(2013)의 인성구인 3개 영역(도덕성, 사회성, 정서성) 7개 하위 요소(정직/정의, 책임, 윤리, 배려/봉사, 공감, 긍정적 자기이해, 자기조절)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실천방안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ortance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Korean society. The character education is important in order to overcome the negative side effects of the society and to produce the future human resources. The author suggest that character education could help the economy of the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by raising social capital, as well as overcome people's psychological suffering caused by the rapid industrialization. For successful character education, the definitions of the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need to be clear, specific and include the values of current society. Chi et al. (2013) have suggested the construct of character and it is composed of 3 areas and 7 sub-components. Three areas of character are morality, sociality, and emotionality. The morality includes honesty/justice, responsibility, and ethics. The sociality includes caring/service and empathy. The emotionality includes positive self-understanding and self-regul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character education are discuss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티카페 문제해결 전략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 과정과 산출물 분석
- 브레인스토밍 유형이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기초적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
-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 행복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 동아시아 문화유산이 창의성과 상상력에 대한 역할에 관한 성찰 - 한국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블렌디드 학습모형 개발
- 스토리텔링 기반 이러닝 콘텐츠의 컨셉 설계 모형 프로토타입 개발
- 영역 일반성 대 영역 한정성 논의와 그 교육적 함의
-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among Design Students: A Case Study of Hong Kong
-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사고력 교육의 원칙 및 제한점
-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