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티카페 문제해결 전략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 과정과 산출물 분석
이용수 1
- 영문명
- Children's Creative Thinking Process and Products: Strategies and Solutions of an Anti-cafe Problem
- 발행기관
- 대한사고개발학회
- 저자명
- 김미숙 최상덕 김경은
- 간행물 정보
- 『사고개발』제9권 제2호, 99~11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서울 소재 초등학교 3학년과 6학년 남녀학생 총 48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안티카페 문제해결 활동을 Treffinger와 Isaksen(2005)의 CPS(Creative Problem Solving) V.6.1 및 해결책 평정 척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총 8단계로 구성된 CPS 전략 중 학생들은 ‘해결책 구체화’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6학년이 3학년보다 CPS 전략을 전반적으로 더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6학년이 제시한 해결책의 유용성과 매력도는 3학년보다 그 점수가 높았으나, 유창성에서는 3학년이 6학년보다 높았다.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과 해결책의 창의성 수준 총점 간상관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세부항목 중 ‘해결책 구체화’ 사용과 해결책의 전문성간, 또 ‘해결책 수용’ 사용과 해결책의 유용성 간에는 정의 상관이 있었다. 이를 통해 창의적 사고력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children's creative process and their product while they are solving a problem in a peer group of two boys and two gir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rty-eight third and sixth grade prim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ildren used the 'Developing Solutions' strategy most often among the 8 CPS strategies. A series of t-tests revealed that the sixth graders used more CPS strategies than the third graders, and the sixth graders' solutions were more useful and attractive than those of the third graders. Even though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total use of CPS strategies and total creativity score of their solutions was not significan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subcategories. Based on these findings, four suggestions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hat would improve children's creative thinking were provid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안티카페 문제해결 전략을 통해 본 초등학생의 창의적 사고 과정과 산출물 분석
- 브레인스토밍 유형이 초등학생과 대학생의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기초적 사고 기능의 개발을 위한 수업 조건
- 학생 창의성 발현을 돕기 위한 교수-학습 모형 탐색
- 사고력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평가 방안 탐색
- 행복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한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 동아시아 문화유산이 창의성과 상상력에 대한 역할에 관한 성찰 - 한국을 중심으로-
-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사회과 블렌디드 학습모형 개발
- 스토리텔링 기반 이러닝 콘텐츠의 컨셉 설계 모형 프로토타입 개발
- 영역 일반성 대 영역 한정성 논의와 그 교육적 함의
-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among Design Students: A Case Study of Hong Kong
- 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고등사고력 교육의 원칙 및 제한점
- 창의적 문제 해결력 구성 요소간의 역동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