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재활병원 지원 서비스를 받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60

영문명
The of How Acceptance and Commitment Group Art Therapy Affects the Depression and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with Receiving Rehabilitation Hospital Support Services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정유진(Jung, Yu-jin) 김지혜(Kim, Ji-Hye) 정여주(Jeong, Yeo-ju)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9권 제5호, 1435~145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1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재활병원 지원 서비스를 받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S재활병원에 내원하고 있는 환아의 어머니 중 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는 실험군 11명, 환아와 분리되어 휴식시간을 제공받는 비교군 6명, 무처치 대조군 9명, 총 2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주 1회 60분씩 총 8회기 동안, 실험군은 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에, 비교군은 휴식시간에 참여하였고, 실험군과 비교군이 연구에 참여하는 동안 간호전문가를 통한 환아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치료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울척도와 양육효능감척도를 프로그램 전과 후에 시행하였으며, 종결 후 개별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 후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휴식시간은 유의미한 효과를 주지 않았다. 둘째, 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 후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하위영역인 부모효능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다른 하위영역인 부모불안감은 낮아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반면, 휴식시간은 부모효능감과 부모불안감에서 모두 유의미한 변화를 주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how acceptance and commitment group art therapy (ACAT) affected the depression and the parenting self-efficacy of mother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6 mothers whose children were inpatients at an S rehabilitation hospital, and the study subjects were separated into three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11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an ACAT, the comparison group (six participants) received respite care, and the control group (nine participants) did not receive any experimental treatment. The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the significance of the variables’ correlations was tested. Based o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the therap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depression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subjects, but respite care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mothers’ parental self-efficac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while parental anxiety decreased. In comparison, respite care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s on parental self-efficacy or parental anxie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유진(Jung, Yu-jin),김지혜(Kim, Ji-Hye),정여주(Jeong, Yeo-ju). (2022).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재활병원 지원 서비스를 받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29 (5), 1435-1459

MLA

정유진(Jung, Yu-jin),김지혜(Kim, Ji-Hye),정여주(Jeong, Yeo-ju). "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재활병원 지원 서비스를 받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29.5(2022): 1435-14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