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들의 암 투병 과정에서 미술작업이 주는 구원에 대한 경험 탐구
이용수 79
- 영문명
- Inquiry on the Experience of Salvation Through Art Work During Son's Fight Against Cancer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문명희(Moon, Myung-hee) 최선남(Choi, Sun-nam)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9권 제5호, 1293~131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탐구는 탐구자의 아들이 암 투병을 하는 기간 중에 탐구자가 미술작업을 수행하면서 얻은 구원에 대한 경험에 대해 이야기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서술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탐구자는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사용하여 미술작업이 어떻게 자신의 구원에 이르렀는지 생생하게 드러내고자 노력하였다. 탐구에는 2021년 1월부터 2021년 8월까지 탐구자가 아들의 병을 간호하던 시기에 작업했던 미술작품과 사진, 기록한 글들을 정리하였으며, 2022년 4월 12일 박사과정의 사례세미나에 이를 발표하였다. 사례세미나 발표 후 동료 미술치료사들의 반응작업을 통한 그림, 인터뷰에서 생성된 축어록, 질문지 및 면담자료 역시 포함하여 글쓰기가 이루어졌다. 탐구의 과정에서 새로운 매체와의 만남, 작업 몰입의 즐거움 및 미술작품의 완성을 통해 내면의 불안과 혼란이 희망으로 변환되는 경험을 하였다. 이울러 동료 미술치료사들의 이해와 공감은 자기돌봄의 큰 힘이 되며, 또한 미술작업은 자기돌봄을 위한 선물임을 깨닫게 되었다. 미술작업이 주는 구원은 미술치료사를 창조적 원천에 연결되게 하며, 동료 미술치료사들의 지지는 또 다른 자기돌봄 경험이 되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tells about focused on the experience and underlining meaning of the salvation that the researcher felt while performing art work during her son’s cancer treatment.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tried to vividly reveal how the art work fueled her salvation by using the narrative inquiry,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 the research, the artworks, photos, and written texts that the investigator worked on while caring for her son's illness from January 2021 to August 2021 were organized, and then presented them on April 12, 2022, in a case seminar for the doctoral program. Writing was then completed after the presentation that included pictures of the reaction works of fellow art therapists, written word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materials generated from the interviews. In the process of the research, the researcher experienced the transfer of inner anxiety and confusion into hope through encounters with new media, the joy of immersion in work and the completion of works of art. The researcher also learned that the understanding and empathy of fellow art therapists is a great source of self-care and realized that art work is a gift for self-care. The salvation fueled by the art work led the art therapist to a creative source, and a self-care experience through the support of fellow art. Based on these above content,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들의 암 투병 과정에서 미술작업이 주는 구원에 대한 경험 탐구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 심리변화진단 검사, PPAT 그림검사 중심으로
- 미술치료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제안 연구
- 자서전 만들기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행복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사의 ETC 활용 자기작업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의 애도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의 인지기능 영역에 대한 효과: 메타분석
-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2013-2021):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 문헌 고찰
- 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재활병원 지원 서비스를 받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학개론 교재의 내용 분석과 개선방안
- 미술치료사의 유화작업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탐구
-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