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치료사의 유화작업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탐구
이용수 42
- 영문명
- An Ontological Exploration of the Art Therapist's Experience in Oil painting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이정원(Lee, Jung-won) 최선남(Choi, Sun-Nam)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9권 제5호, 1203~122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탐구는 지속되는 유화 그림 작업 속의 상징과 은유를 통해 탐구자인 ‘나’의 치유적 과정을 탐구한 것이다. 탐구는 2018년 9월부터 유화 작업 과정과 자전적 저널을 병행하여 2020년 11월까지 17여 점의 그림과 심층 대화를 시도하면서 과정에서 느껴지는 감정과 연상을 메모하고 기록하였다. 유화 작업으로 구성된 경험 이야기는 네 가지이다. 첫 번째, ‘그림속에 나를 담고, 내 마음에 그림을 담다’에서 나는 스스로 느끼는 감정의 억압에서 벗어나고자 나 자신이 변화되어가는 모습들을 발견하게 되었다. 두 번째, ‘가족, 그 마음을 담다’는 무의식 속에 가족의 모습이 수면 위로 드러나고 유화 작업 과정을 통해 가족관계로 전환되어 상처와 상실에 대한 감정을 해소하여 담아 두었다. 세 번째, ‘내담자, 그 마음을 담다’로 상호주관적 공감 관계가 형성되었다. 네 번째, ‘그림을 통해 마음과 마음을 잇다’로 그림과 대화하며 나의 마음을 전달하는 경험을 통해 그림에 대한 치유성을 담아내는 이야기로 마무리되었다. 나는 ‘상처를 넘어서 삶을 이해하고 의미를 담아내고 ’색채로 세상과 새롭게 관계를 맺으며’ ‘유화 그림의 치유성이 글쓰기를 통해 재통합하는 과정’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술치료사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기 통찰과 탐색이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This exploration examined the healing process of the explorer “I” through symbols and metaphors in the continued oil painting work. The exploration attempted an in-depth conversation with about 17 paintings created from September 2018 to November 2020 in parallel with the oil painting process and autobiographical journals, which involved taking notes and recording the emotions and associations felt. Four stories of experience emerged from the oil paintings. First, in “Put me in a picture, put a picture in my heart,” the therapist changed to escape the oppression of the emotions I felt. Second, “Conceiving family” described that how the painting theme was changed into a family relationship that revealing revealed feelings of hurt and loss because the therapist remembered how their mother inflicted trauma. Third, “Conceived clients” depicted an intersubjective sympathetic relationship. Fourth, “Each one’s mind connected in the painting” described their the therapist immersing in oil painting while understanding their own life, meditating paintings, and healing of art when delivering the experience of the therapist’s thoughts. Through this process, the therapist demonstrated overcoming emotional pain, understanding their own life, and revealing the meaning of life. The therapist also wrote to the healing feature of an oil painting.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identity of art therapists was established, and self-inspections and explorations were conduc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들의 암 투병 과정에서 미술작업이 주는 구원에 대한 경험 탐구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 심리변화진단 검사, PPAT 그림검사 중심으로
- 미술치료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제안 연구
- 자서전 만들기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행복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사의 ETC 활용 자기작업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의 애도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의 인지기능 영역에 대한 효과: 메타분석
-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2013-2021):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 문헌 고찰
- 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재활병원 지원 서비스를 받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학개론 교재의 내용 분석과 개선방안
- 미술치료사의 유화작업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탐구
-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