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76
- 영문명
- How Group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um affects the Depression and Self-Eficacy of Middle-Aged Women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황준희(Hwang, June-Hee) 신지현(Shin, Ji-Hyun)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9권 제5호, 1269~129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문화센터 회원 중 경미한 우울감 이상에 해당하는 24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 12명으로 나누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참여 동의를 얻은 후 배치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1년 10월 말부터 2022년 1월 말까지 주 1회 80분씩, 사전․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12회기로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우울감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해 양적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집단미술치료의 회기별 질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우울감 검사의 하위요인별 분석에서는 정서적, 동기적, 인지적 증상이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자기효능감 검사의 하위요인별 분석에서는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이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섬유매체 집단미술치료의 진행 과정에서 실험집단이 정서적 안정감을 되찾고, 성취감을 통한 자신감에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중년 여성의 우울감 감소와 자기효능감 향상에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group art therapy using fabric medium affects the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f middle-aged women. The participants were 24 members of the cultural center located in G city with mild depression or more.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with 12 participants, and they were placed after obtaining consent to participate in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he study period lasted from the end of October 2021 to January 2022, resulting in a total of 12 sessions (excluding pre- and post-tests) of 80 minutes once a week. As an analysis method, changes i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were confirmed quantitatively through the Wilcoxon sign ranking test and qualitatively through the group art therapy for each s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in the depression test, emotional, motivational, and cognitive symptom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 and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in the self-efficacy test, confidence and self-regulating efficac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re- and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regained emotional stability and showed a change in self-confidence through a sense of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fabric medium was effective in reducing depression and improving self-efficacy among middle-aged women.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들의 암 투병 과정에서 미술작업이 주는 구원에 대한 경험 탐구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 심리변화진단 검사, PPAT 그림검사 중심으로
- 미술치료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제안 연구
- 자서전 만들기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행복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사의 ETC 활용 자기작업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의 애도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의 인지기능 영역에 대한 효과: 메타분석
-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2013-2021):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 문헌 고찰
- 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재활병원 지원 서비스를 받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학개론 교재의 내용 분석과 개선방안
- 미술치료사의 유화작업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탐구
-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