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261
- 영문명
-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on Art Therapy as a Mourning Work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한미미(Han, Mi-Mi) 전순영(Chun, Soon-young)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9권 제5호, 1369~139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가 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과 그 경험의 의미를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자전적 탐구이다. 이를 위해 2022년 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주 1회 총 10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심리 내적 상태를 따라가며 자율적인 경험이 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Cladinin과 Connelly(2007)의 내러티브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이야기는 9개의 이야기로 엮어내었고, 경험의 의미는 ‘치유의 길목에서 슬픔을 담아내다, 추억으로 애도하다, 내 안의 어린 나를 마주하다, 새롭게 안녕하다’의 4개의 주제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첫째, 미술이 제공하는 체험적 공간은 담아주는 공간으로서 기능하여 안전하고 충분한 내적 표출을 유도하여 상실에 대한 슬픔과 애도의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해주었다. 둘째, 미술의 창조적 공간 안에서 고인에 대한 추억을 재연하며 애도하여 상실의 현실을 수용하고 고인과의 새로운 관계맺기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셋째, 창조적으로 재구성된 이미지와 작품은 통합된 정서적 태도를 촉진시켜 애도의 의미를 적응적으로 재구성하여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n autobiographical inquiry to learn in depth what the researcher experienced through art therapy as a mourning work and the meaning of that experience. To this end, a total of 10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rom January 2022 to April 2022. The program was designed to be an autonomous experience by following the researcher’s internal mental state, and based on this design,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ology of Cladinin and Connelly (2000/2007) was applied and explored. The researcher plotted nine episodes through the art therapy as a mourning work.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 were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contain the grief on the way to the healing,” “mourning through memory,” “facing a younger me within myself” and “fair-well to the deceased ane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tial space provided by functions to induce the subjects to safely and sufficiently express their inner emotions. Second, the art served to replay subject’s memories of the deceased and while mourning and helping the subject to accommodate the reality of the loss and personally relate with the deceased anew.; Third, the images and works restructured creatively integrated the subject’s emotional attitudes and helped subjects to reorganize the meaning of the condolence and matur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들의 암 투병 과정에서 미술작업이 주는 구원에 대한 경험 탐구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 심리변화진단 검사, PPAT 그림검사 중심으로
- 미술치료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제안 연구
- 자서전 만들기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행복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사의 ETC 활용 자기작업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의 애도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의 인지기능 영역에 대한 효과: 메타분석
-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2013-2021):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 문헌 고찰
- 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재활병원 지원 서비스를 받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학개론 교재의 내용 분석과 개선방안
- 미술치료사의 유화작업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탐구
-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