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이용수 232

영문명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Inquiry on Art Therapy as a Mourning Work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한미미(Han, Mi-Mi) 전순영(Chun, Soon-young)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9권 제5호, 1369~139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0.1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가 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것과 그 경험의 의미를 구체적이고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한 자전적 탐구이다. 이를 위해 2022년 1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주 1회 총 10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심리 내적 상태를 따라가며 자율적인 경험이 되도록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Cladinin과 Connelly(2007)의 내러티브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탐구하였다. 본 연구의 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이야기는 9개의 이야기로 엮어내었고, 경험의 의미는 ‘치유의 길목에서 슬픔을 담아내다, 추억으로 애도하다, 내 안의 어린 나를 마주하다, 새롭게 안녕하다’의 4개의 주제로 범주화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첫째, 미술이 제공하는 체험적 공간은 담아주는 공간으로서 기능하여 안전하고 충분한 내적 표출을 유도하여 상실에 대한 슬픔과 애도의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게 해주었다. 둘째, 미술의 창조적 공간 안에서 고인에 대한 추억을 재연하며 애도하여 상실의 현실을 수용하고 고인과의 새로운 관계맺기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셋째, 창조적으로 재구성된 이미지와 작품은 통합된 정서적 태도를 촉진시켜 애도의 의미를 적응적으로 재구성하여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n autobiographical inquiry to learn in depth what the researcher experienced through art therapy as a mourning work and the meaning of that experience. To this end, a total of 10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rom January 2022 to April 2022. The program was designed to be an autonomous experience by following the researcher’s internal mental state, and based on this design, the narrative research methodology of Cladinin and Connelly (2000/2007) was applied and explored. The researcher plotted nine episodes through the art therapy as a mourning work.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 were categorized into four themes: “contain the grief on the way to the healing,” “mourning through memory,” “facing a younger me within myself” and “fair-well to the deceased ane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tial space provided by functions to induce the subjects to safely and sufficiently express their inner emotions. Second, the art served to replay subject’s memories of the deceased and while mourning and helping the subject to accommodate the reality of the loss and personally relate with the deceased anew.; Third, the images and works restructured creatively integrated the subject’s emotional attitudes and helped subjects to reorganize the meaning of the condolence and matur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미미(Han, Mi-Mi),전순영(Chun, Soon-young). (2022).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29 (5), 1369-1390

MLA

한미미(Han, Mi-Mi),전순영(Chun, Soon-young). "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미술치료연구, 29.5(2022): 1369-13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