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 심리변화진단 검사, PPAT 그림검사 중심으로
이용수 297
- 영문명
- How Group Art Therapy Affects Low-income Children and Youth: Using a Psychological Diagnostic Test and PPAT Drawing Test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김선주(Kim, Sun-Joo) 김나래(Kim, Na-Rae) 김선희(Kim, Sun-hee)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9권 제5호, 1413~143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0.1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전문사회복지기관 G에서 진행한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사전, 사후 검사로 심리변화진단 검사와 PPAT(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림검사를 실시하여 그 변화를 확인함과 동시에 저소득층 아동이 경험한 집단미술치료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서면 인터뷰 질문지를 수집하여 반복적 비교 분석을 통한 의미 단위를 도출하였다. 저소득층 아동은 전국 초등학교 4학년부터 6학년 학생들로, 2021년 4월부터 12월까지 총 477명을 대상으로 최소 12회기에서 최대 16회기의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심리변화진단 검사에서 자아, 또래 관계, 학교생활 적응 모든 요인에서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PPAT 그림검사에서는 통합, 문제해결력, 선의 질 및 내적 에너지, 사실성, 발달단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참여자들이 집단미술치료에서 경험한 것을 상위범주 4개와 하위범주 11개의 주제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group art therapy conducted at G, a professional social welfare institution in South Korea, affects low-income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this end, the Diagnostic Test for the Psychological Change Diagnosis test and PPAT (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test were conducted as a pre- and post-test to confirm the change and to identify the meaning of group art therapy experienced by low-income children. A written interview questionnaire was collected, and a meaning unit was derived. For this study, the group of interest was low-income children in grades 4-6 in elementary schools nationwide, and from April 2021 to December 2021, a total of 477 students participated in at least 12 to 16 group art therapy sessions. The following study results occurred: First, in the psychological change diagnosis test, the scor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factors of self,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adaptation. Second, in the PPAT drawing test, differences in integration, problem-solving ability, high quality and internal energy, realism, and development stage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what participants experienced in group art therapy was classified into four upper categories and 11 lower categorie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들의 암 투병 과정에서 미술작업이 주는 구원에 대한 경험 탐구
- 집단미술치료가 저소득층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 심리변화진단 검사, PPAT 그림검사 중심으로
- 미술치료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제안 연구
- 자서전 만들기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요양병원 입원노인의 행복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사의 ETC 활용 자기작업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반려동물을 상실한 여성의 애도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애도작업으로서의 미술치료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 미술치료의 인지기능 영역에 대한 효과: 메타분석
- 긍정심리학을 활용한 미술치료 연구 동향(2013-2021):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 문헌 고찰
- 수용전념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재활병원 지원 서비스를 받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학개론 교재의 내용 분석과 개선방안
- 미술치료사의 유화작업 경험에 대한 존재론적 탐구
- 섬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중년 여성의 우울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